관세 폭탄 등 여파에 철강산업 BSI 44포인트로 가장 낮아...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근본적인 대책 미흡 지적

▲ 포항시 전경. ⓒ포항시
▲ 포항시 전경. ⓒ포항시

포항지역 경기가 심상치 않다. IMF 시절보다 더 심각하다는 진단이다.

포항지역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다시 얼어붙고 있다. 포항상공회의소가 지역 제조업체 9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51로 집계됐다.

이 같은 기업경기실사지수는 IMF 시절 보다 악화된 수치라는 지적이다.

포항은 지난 8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지만, 현장에서는 “근본적 대책은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다.

업계는 현재 국회 논의 중인 ‘철강산업 특별법(K-스틸법)’에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여기에 법인세·인건비 상승, 중대재해처벌법·노란봉투법 등 노사 부담 증가, 상법·공정거래법 규제 강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기업 경영을 압박하고 있다.

이 같은 기업환경은 기업의 투자 의지를 압박시키고 체감경기전망을 어둡게 한다.

BIS는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호전,100미만이면 경기 침체를 예고하는 것을 의미하는 숫자다.

포항의 BIS는 올들어 하반기부터 더욱 악화되면서 전분기에는 56포인트까지 나빠졌지만 이번 분기에 5포인트가 더 낮아졌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8.2%)이 “경기가 더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호전을 기대한 기업은 8.8%에 불과했다.

세부 항목별 BSI를 보면 설비투자가 71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여전히 기준치에는 한참 못 미쳤다.

전반적 체감경기(51), 자금사정(49), 매출액(47), 영업이익(47) 등 핵심 지표는 모두 50선 전후에 머물러 지역 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기업들은 올해 연간 매출 목표 달성 전망에서도 “미달” 응답이 79%에 달했다.

영업이익 역시 절반 이상이 목표치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손익분기 수준에 머무른다”(51.6%)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적자 지속(20.9%) 전망도 뒤따랐다.

업종별 전망에서는 철강업 BSI가 44로 가장 낮았다. 미국의 50% 고율관세 지속, 중국산 저가 제품 유입, 내수침체 등이 겹치면서 영업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화학업(BSI 83)은 원자재 가격 안정, 고부가 제품 수요 증가, 신규 수주 확대 등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목재·시멘트·식품·운송 등 기타 제조업은 47로, 내수 부진과 소비 위축으로 여전히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업들이 꼽은 가장 큰 애로 요인은 내수시장 침체(64.8%)였다. 이어 수출경기 둔화(14.3%), 경쟁 심화(8.8%)가 뒤를 이었다.

비용 측면에서는 인건비 상승(46.2%)이 가장 큰 부담으로 지적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25.2%), 관세 증가(8.8%), 에너지 비용(6.6%) 등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또한 기업 운영 과정에서 겪는 애로는 자금 사정(35.2%), 인력 수급(17.6%), 규제 대응(16.5%) 순으로 나타났다.

입법과 관련해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분야는 법인세 등 기업비용 증가(31.4%), 노사관계 부담 증대(27.6%), 기업제도 규제 강화(19.9%) 등이었다.

반면, 꼭 필요한 입법 과제로는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31.8%), 고용·노동시장 유연화(26.6%), 위기산업 재편 및 지원(24.9%)을 꼽았다.

포항상의 관계자는 “지역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 위축은 단순 경기순환이 아니라 구조적 요인이 크다”며 “정부는 철강산업 고도화, 기업비용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 종합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