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지난달 29일 경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및 안보 관련 주요 쟁점에 합의한 지 16일 만이다.이로써 한미 간 최대 현안이던 무역·안보 협상이 전면 타결됐다.자동차 관세 인하, 반도체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11.16 14:23
-
-
-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한국 방문을 앞두고 “한국 국민을 기쁘게 할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글로벌 반도체·AI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 등 한국 대기업들과의 ‘AI 빅딜’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황 CEO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GTC 2025’ 기조연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10.29 20:22
-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첫 일정으로 글로벌 경제인들과 만나며 대규모 외국인 투자를 이끌어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를 비롯한 7개 글로벌 기업이 향후 5년간 총 9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의 한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첨단산업 중심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신호탄’으로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10.29 20:21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3500억달러(약 50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두고 최종 절충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트럼프 대통령은 ‘전액 현금 선불 투자’를 요구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재정 여력을 고려해 신용보증과 장기 분납 방식을 주장하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29~30일 경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10.26 13:54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홈그라운드’인 플로리다 팜비치 골프장에서 한국의 4대 그룹 총수들과 8시간 가까이 함께한 것은 단순한 친교 행사가 아니라 관세·투자 협상을 앞둔 고도의 물밑 접촉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수입품 50% 고율 관세 방침이 한미 통상 현안을 뒤흔들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10.19 14:20
-
-
-
미국 연방정부가 1일(현지시간) 0시1분부터 부분 업무 정지에 들어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셧다운이다. 의회가 새 회계연도(2026년) 예산안은 물론 임시 지출안(CR) 합의에도 실패하면서 정부 운영을 위한 지출 권한이 소멸한 탓이다.셧다운은 미 연방 의회의 승인 없이는 예산 집행이 불가능하다는 ‘적자 재정 방지법’에 따른다. 국가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10.01 14:32
-
우리나라 금융·외환시장이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나라보다 높아 충격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금융·외환시장 심도를 고려한 정책대응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내 시장의 깊이(심도)가 얕아 외부 불확실성이 커질 때 충격이 실물경제로 더 크게 전이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이번 분석은 2004년부터 20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9.22 13:49
-
세계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을 이끄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국 경제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가 기대되고 있다.정부와 재계는 황 CEO의 한국행을 사실상 기정사실로 보고 준비에 돌입한 상태다.올해 APEC CEO 서밋은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되며, 주요 의제는 ‘경제 발전을 위한 AI’다.젠슨 황 CEO는 AI 세션 연사로 초청된 것으로 전해지며, 실제 참석이 성사될 경우 한국은 글로벌 AI·반도체 전략의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9.01 18:43
-
한국의 8월 수출이 미국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하며 석 달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반도체가 사상 최대 실적을 다시 경신했고, 자동차와 선박 수출도 호조를 보였다. 다만 대미 수출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로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해 뚜렷한 양극화가 드러났다.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8월 수출입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9.01 16:48
-
한국 경제가 내수 회복과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호조에 힘입어 반등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올해 성장률은 1%대 진입조차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에는 1%대 중후반, 내후년에는 2%대에 안착할 수 있다는 기대가 확산하고 있다.지난달 31일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국내외 41개 기관이 내놓은 내년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8.31 15:20
-
한국수출입은행이 발표한 ‘2025 하반기 경제 및 산업 전망’에 따르면 올해 한국경제는 1%에도 못 미치는 저성장이 예상된다. 건설경기 침체로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미국 관세 부과 영향으로 수출도 위축되면서 경기 회복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다.보고서는 2025년 세계경제가 전년 대비 3% 내외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 통상정책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8.27 10:18
-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407종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산업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이번 조치는 단순히 철강사뿐 아니라 자동차·기계·전자부품 등 수출 주력 업종까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정부와 업계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외교적 협상·산업 구조 재편·기업 차원의 공급망 대응이라는 3각 전략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중소·중견 기업 지원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순한 컨설팅·분담금 완화 수준으로는 역부족이라고 본다.무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8.20 19:35
-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407종에 대해 50% 고율 관세를 전격 발표한 배경에는 단순한 산업 보호를 넘어선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재집권 후 불과 수개월 만에 ‘초강력 보호무역 카드’를 꺼내든 것은 내년 대선을 겨냥한 전형적인 ‘노동자 표심 잡기’ 전략으로 풀이된다.미국 정치권에서는 이번 조치가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8.19 19:33
-
미국이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407종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국내 자동차·기계 부품 업계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중소·중견기업들이 원가 상승과 판로 축소라는 이중고에 직면하면서 협력사 네트워크 붕괴 가능성까지 제기된다.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무역확장법 23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8.18 20:04
-
올해 2분기 우리나라 무역이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기업 규모와 산업별 흐름은 뚜렷하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은 원자재·소비재 부진 여파로 정체된 반면, 중소기업은 소비재와 자본재 수출을 중심으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이며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상했다. 첨단 제조업과 신흥시장이 무역 증가를 견인하는 가운데, 전통 산업과 대기업
국제경제
강신윤 기자
2025.08.18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