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금융·외환시장 심도를 고려한 정책대응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내 시장의 깊이(심도)가 얕아 외부 불확실성이 커질 때 충격이 실물경제로 더 크게 전이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분석은 2004년부터 2024년까지 20년간 17개국(선진국 8곳, 한국 포함 변동환율제 신흥국 9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를 나타내는 지수와, 외환·금융시장의 반응을 가늠하는 ‘UIP(유위험 금리평형) 프리미엄’을 연계해 충격 반응도를 계측한 결과, 한국은 2.11%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신흥국 평균(1.68%포인트)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UIP 프리미엄은 국내 경제 주체가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글로벌 투자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추가 비용을 뜻한다.
대외 충격이 발생하면 자국 통화가치 하락과 금리 상승이 동반돼 UIP 프리미엄이 확대되는데, 한국이 평균보다 더 큰 폭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는 것은 한국 금융·외환시장이 상대적으로 얕다는 의미다.
한은은 “시장 심도가 얕을 경우 외환 변동성과 금리 불안정성이 커지고, 이는 곧 기업과 가계의 자금 조달 비용 증가로 이어져 실물경제 위축 폭이 심화된다”며 “충격 전이 메커니즘이 강하게 작동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유럽 재정위기, 팬데믹 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될 때마다 외환·금융시장이 급격히 출렁이며 신흥국 중에서도 높은 변동성을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선진국 대비 자본시장의 규모와 다양성이 부족하고, 일부 투자자에 의존하는 구조적 취약성 때문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다만 한은은 이번 보고서에서 대응책도 제시했다. 현재 정부와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외환시장 구조 개선 방안과 2026년 예정된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대표적이다.
WGBI 편입이 실현되면 한국 국채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외환시장 참여자가 다변화돼 변동성 완화와 심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시장 개방 확대와 글로벌 지수 편입은 자본 유입 안정성을 높이고 충격 흡수 능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의 깊이를 키우는 것이 대외 충격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