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지역 공업지역 중 산업단지 등 제외한 1121㎢ 대상...수상동 일부 제외 전반적 정비 필요한 산업정비형 중점

ⓒ김창숙 기자
ⓒ김창숙 기자

안동시 공업지역기본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이 지난 16일 공개됐다.

오는 10월 2일까지를 공람기간으로 주민의견제출을기다리며 10월 대구지방환경청과 협의를 예정하고 있다.

이번 안동시 공업지역기본계획은 기존 안동시 공업지역중 산업단지 등을 제외한 1121㎢가 대상이다.

안동시 전체 공업지역 2404㎢ 중 다른 법률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 경북도청 신도시의 전기공급설비 용지, 경북바이오산업단지 등 1283㎢을 제외했다.

세부적으로 안동시 수상동 241-9번지 일원 0.988㎢, 풍산읍 소산리 43-1번지 일원 0.042㎢ , 북후면 장기리 533번지 일원 0.038㎢, 예안면 정산리 산 143번지 일원 0.023㎢, 길안면 천지리 640번지 일원 0.030㎢ 등이다.

도심생활권인 안동시 수상동 241-9번지 일원 0.988㎢는 일반공업·준공업지역으로 도심으로서 기능회복 및 중심성 강화가 강조됐다.

안동시 서부생활권인 풍산읍 소산리 43-1번지 일원 0.042㎢은 준공업지역으로 균형성장 주도 행정 및 신산업 거점지역 조성이 발전방향으로 제시됐다.

북부생활권인 북후면 장기리 533번지 일원 0.038㎢, 예안면 정산리 산 143번지 일원 0.023㎢은 일반공업지역으로 관광인프라 구축을 통한 역사·문화 관광벨트의 강화가 목적이다.

동부생활권인 길안면 천지리 640번지 일원 0.030㎢는 일반공업지역으로 자연·역사·문화 체험형 관광을 통한 지역활성화가 발전방향으로 제시됐다.

인동시는 이번 공업지역기본계획을 통해 개발에 따른 환경영향은 예상되지만 공업지역 체계적인 관리 및 활성화, 공업지역 정비구역계획의 방향성 제시, 상위게획과 연계 및 일관적인 계획과 장기적인 공업지역 관리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불필요한 공업지역 검토를 통한 효율적인 국토이용이 가능하고 노후시설 정비가 가능해 사회적 요구에 따른 신산업 육성 활성화로 지역경제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공업지역 유형화를 수상동 일부를 제와한 전 지역을 기존 산업의 쇠퇴, 열악한 물리적 환경 또는 산업과 주거 등 여러 용도의 혼재 등으로 전반적 정비가 필요한 산업정비형으로 설정했다.

수상동은 신산업 유치·산업외 다양한 기능과의 연계를 통한 산업혁신을 촉진해 주변지역 정비를 견인하기 위한 거점을 조성하는 산업혁신형과 기존 산업을 육성 및 활성화 또는 지역여건을 고려하는 산업관리형의 조화가 요구됐다.

안동시는 이번 공업지역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실시한 공업지역 전반에 대한 기업인 등의 설문조사에서 노후 기반시설의 정비와 공해 우발업종 이전의 요구가 높았다.

특히 공업지역 활성화시 우선적으로 노후기반 시설 정비가 강조됐다.

또 공업지역 활성화시 자금확보 어려움에 따른 세금 감면 등의 직접적인 지원과 기업 및 근로자의 지원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안동시는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의 산업지원방안에서 세제혜텍, 구제완화 등 산업지원 근거를 제시하고 공간관리 방안에서 지원시설 및 기반시설 정비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안동시는 지역특성에 맞는 쳬계적인 공업지역 기본계획수립 및 관리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산업구조 및 주변지역 환경악화 등 쇠퇴하는 공업지역을 다양한 분석을 통해 신산업생태계로 재편해 지역 삶의질 향상과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