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대 1만2904㎡ 13억5964만원 매입...국토부 공모 선정 직전 평당 34만7천원에 매입...토지보상가 평당 80만원 이상 관측...한동숲 혁신파크 추진 참여 사전정보 땅 매입 논란

ⓒ김창숙 기자
ⓒ김창숙 기자

한동대학교가 포항 글로벌 기업혁신파크사업을 추진하면서 사전정보를 이용한 편입부지 땅 매입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동대 땅 매입 논란은 본지가 지난 3월 9일 ‘한동대-한동숲, 글로벌 기업혁신파크 두고 십수억원 수상한 땅 거래’ 내용을 보도하면서 비롯됐다.

당시 문제가 제기된 땅이 포항 기업혁신파크 추가 사업부지에 편입되면서 논란은 커지고 있다. 한동대는 이 땅 매입으로 인해 토지보상을 받을 경우 수십억원에 달하는 개발이익을 볼 수 있게 됐다.

문제 토지는 한동대 인접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산77-X번지 포함 3필지다. 한동대는 특수관계인 ㈜한동숲(현 NIBC)으로부터 지난 2023년 9월, 13억5965만원에 매입했다.

한동숲은 이 땅을 2022년 2월, 12억4295만원에 매입했는데 1년7개월만에 1억1670만원의 시세차익을 남기고 한동대에 넘겼다.

한동대가 한동숲에 웃돈을 주고 땅을 매입했는지, 환동숲은 무슨 목적으로 문제의 땅을 매입해서 한동대에 매각했는지는 의문이다. 한동대가 매입한 이 땅은 기업혁신파크 사업 규모가 확대되면서 편입부지에 포함됐다.

기업혁신파크 사업 면적은 환경영향평가 항목결정공고에서 확인됐는데, 당초 54만7천(16만5천평)에서 64만8939㎡(19만6천평)로 확장됐다. 문제의 땅 일부는 공동주택용지 등에 편입돼 아파트가 건립될 계획이다.

문제의 땅은 매입 시기부터 의문스러웠다. 기업도시개발특별법에 따라 사업을 주관하는 국토교통부는 포항 글로벌 기업혁신파크의 선정을 지난해 3월 27일 발표했다. 한동대는 이 때보다 6개월 앞서 토지를 매입했다.

한동대가 2023년 11월 10일 국토부 공모 신청서 제출한 시기보다 2개월 앞둔 시점이다. 한동대 토지 매입 시점 전후에는 기업혁신파크 선정을 위한 국토부와 국토연의 설명회, 포항시-포항시의회 업무협의회 등 사업추진이 본격화하던 시기였다.

한동숲이 매입한 시점도 논란이다. 포항시는 2022년 5월 24일 국토부에 기업혁신파크 사업지역 사전조사 후보지를 제출한 시점과 맞물린다.

포항시는 이에 앞서 1월 26일 포항시-한동대-UNAI한국협의회 등과 ESG 창업 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동숲의 토지매입 시점은 이 같은 상황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한동숲은 한동대와 함께 기업혁신파크 주요 사업시행자라는 점에서 사전정보 취득은 어렵지 않다. 사업부지에 편입된다는 정보를 사전에 취득해 매입하고 이를 한동대에 넘긴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편입부지에 포함된다는 확신이 없으면 매입이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한동대가 매입한 땅은 3필지 1만2904㎡에 달한다. 평당 매입가는 34만7천원이다. 포항기업혁신파크는 환지방식이 아닌 토지수용형 방식으로 개발된다.

특수목적법인 기업혁신파크 법인의 평당 토지보상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매입가의 2~3배 수준에서 토지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 수십억원에 달하는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포항시는 글로벌 기업혁신파크(54만7천㎡기준) 부지 조성사업에는 모두 256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토지보상, 부지조성 공사 2120억원, 진입도로 167억원, 문화복합시설 200억원, 친환경교통시설 40억원, 공원투자사업 40억원 등이다. 토지보상비는 평당 80만원에서 1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도시개발 전문가 A씨는 “사업을 총괄하는 특수목적법인이 있고 그 안에 한동대와 한동숲이 있는데 한동숲이 사전에 땅을 매입하고 한동대가 이를 건네받는 형태가 된 현 상황은 일반적인 거래 과정이라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