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식 교육감 사법리스크 확대 이후 홍보비 급증, 특정 방송사 집중...2019년 3억2084만원, 2020년 5억5947만원, 2021년 6억4741만원...2022년 15억7379만원 2023년 16억2111만원 2024년 14억4314만원...A방송사 2023년 6억3400만원, 2024년 6억1930만원 편중 지원 논란...신문사 홍보비 방송사 대비 4분의 1 수준...타 지역 군소신문, 인터넷 매체도 상당수 지원
경북교육청이 전임 교육감 시설과 달리 임종식 교육감 취임 이후(2019년 이후 기준) 76억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홍보비를 집행한 것으로 밝혀져 선심성 예산 낭비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경북교육청은 최근 3년(2025년 하반기 추정 포함) 동안 45여억원에 달하는 언론매체 홍보 예산을 집행한 데 이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1억원의 홍보비를 집행, 본지가 확인한 홍보비는 줄잡아 8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이 같은 홍보비 집행은 전례에 없는 일이다.
전임자였던 이영우 전 교육감 12년 재임 동안 홍보비 집행이 거의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경북교육청의 홍보비 집행은 임 교육감의 압수수색 등 형사사건 수사가 불거진 2022년부터는 급증하는 양상을 띠기도 했다.
임 교육감의 사법리스크는 2021년 11월, 2022년 3월 총 2차례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본격화됐는데, 공교롭게도 연간 5억원에서 6억원 정도였던 언론사 홍보비가 2022년부터 15억원이 넘어가며 3배 이상 급증했다.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홍보비는 △2019년 3억2084만원 △2020년 5억5941만원 △2021년 6억4741만원 등으로 집계됐다가 압수수색 시점인 2022년은 15억7379만원으로 전년 대비 240% 급증했다.
수십억원대로 늘어난 홍보비는 이후에도 10억원을 크게 웃돌며 2023년 16억2111만원, 2024년 14억4314만원을 집행했으며 올해도 비슷한 수준으로 집행될 것으로 보인다.
경북지역 사회단체 관계자는 “경북교육청의 홍보비 집행은 전임 교육감이 예산 절감을 이유로 예산 자체를 거의 수립하지 않았는데 임 교육감 취임 이후 홍보비 집행이 이뤄지다가 사법리스크기 확대되면서 급증해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특정 방송사, 언론사에 대한 홍보비 집중 현상도 논란이다. 정실성 나눠먹기식 예산 집행 등은 공정성을 훼손하고 선심성 예산 남발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경북교육청의 홍보비 집행 내역에 따르면 특정 방송사에 대한 홍보비 집중지원이 눈에 띈다. 경북교육청은 2023년 대구 본사 A방송사에 대해 13건, 6억3400만원을 집행했다. 2024년에도 11건에 6억1930만원을 지원했다.
2023년 다른 민간방송사 4건 5400만원, 공영방송사 5건 3억5650만원 등 방송사에 12억761만원을 집행해 이들 방송사에만 이 기간 집행한 전체 홍보비 16억2111만원 가운데 74.49%를 지원했다.
특히 방송사 가운데 대구 본사 A사에 집중됐다는 점은 논란이다. A방송사의 홍보비 집중은 다른 민간방송사에 비해 월등히 많아 지원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A방송사에 한 회당 6천만원씩 협찬하고 있는 방송프로그램은 교육 홍보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져 예산 집행에 대한 선심성 논란이 제기된다.
홍보비가 특정 방송사에 집중되면서 대구경북에 본사를 둔 신문사 등 언론사 들은 전체 홍보비의 25%인 4억원가량만 가지고 수십개 매체가 나눠먹기식으로 배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 본사 메이저급 언론사 경우 올해 1630만원을 지원받는데 그쳤다. 경북 소재 신문사 등은 연간 4건에서 5건 정도의 홍보비를 지원받았는데 금액은 500만원에서 1천만원에 정도다.
반면에 본사가 대구·경북에 위치하지 않는 군소신문사, 인터넷매체 등에도 비슷한 규모로 지원하는 등 원칙 없이 정실에 의해 홍보비가 집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다.
사회단체 관계자 B씨는 “학생들의 교육향상에 집행해야 할 예산이 특정인을 위한 선심성 예산으로 낭비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특정 언론사, 사회단체 등에 대한 집중지원과 관련해 상부기관의 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본지는 2022년 홍보비 및 언론 매체 급증이 임종식 교육감의 사법리스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해 집중보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