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평균 15.6% 대구 21.1%...경북 年1억3288만톤 재이용...물 자립형 지역으로 부상 중...구미시 49.3% 안동시 42.0%
경북도가 전국 최고 수준의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을 기록하며 ‘물 자립형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반면 대구시는 재이용률이 전국 평균(15.6%)을 웃돌았지만, 경북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치며 지역 간 수자원 활용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에 따르면, 2024년말 현재 전국 724개 공공하수처리시설(500㎥/일 이상) 중 652개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수를 재이용하고 있다.
또 연간 하수처리량 74억7913만6천톤 중 15.6%인 11억6862만7천톤을 재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경북도의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35.0%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상위를 기록했다.
경북은 연간 총 3억7916만6천톤의 하수를 처리하고, 이 중 1억3288만3천톤을 재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재이용수 중 3724만2천톤은 하수처리장 내부 설비용으로, 9524만2천톤은 도로살수, 농업용수, 산업단지 용수 등 외부 수요처로 공급됐다.
장외 재이용 비중이 전체 재이용량의 25.2%에 달해 실질적인 순환자원으로의 활용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경북도내에서는 포항시가 55.1%로 시부 가운데 가장 높았고, 이어 구미시 49.3%, 안동시 42.0% 순이었다.
반면 대구시는 연간 4억3372만1천톤의 하수를 처리하고, 이 중 9157만8천톤을 재이용해 재이용률은 21.1%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813만1천톤이 장내용수, 5344만7천톤이 장외 재이용이었다.
전국 평균(15.6%)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경북에 비하면 활용 폭이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두 지역의 재이용률 격차는 하수 재이용 정책의 방향성과 공급 구조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경북은 광역자치단체와 시·군 단위에서 농업·산업단지의 용수 수요를 감안해 장외 재이용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한 반면, 대구는 도심형 처리시설의 내부 순환 중심으로 설계돼 장외 활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구조다.
경북도 관계자는 “동해안 수산단지, 구미·포항 산업단지 등에 공공 하수처리수를 공급하면서 안정적 물 공급 체계를 마련한 것이 주효했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대비한 대표적 물 순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북은 수계 갈등이 빈번한 낙동강 권역에 속해 있는 만큼, 생활용수와 산업용수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하수 재이용률을 전략적으로 관리해왔다.
실제로 안동·포항·경주 등은 지역 단위로 하수처리수 기반의 하천 유지 및 농업 관개용수를 활용 중이다.
반면 대구시는 하수 재이용 시설이 대부분 도심부에 집중돼 있고, 장외 공급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다만 최근에는 ‘스마트 물순환 도시’ 조성 사업을 통해 재이용 확대를 위한 장외 공급 거점 확보에 나서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염색산단 등 수질 민감 산업지대에 안정적 용수 공급을 위한 하수 재처리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확충 중”이라며 “장외 공급률을 점진적으로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하수처리수 재이용률 향상과 장외 활용 확대를 골자로 한 ‘하수도정책 종합계획(2024~2030)’을 추진 중이다.
2030년까지 전국 평균 재이용률을 3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하수재이용시설에 대한 국고 지원을 늘리고, 장외 활용 비중이 높은 지자체에는 가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북은 단순 처리량이 아닌 실제 자원 순환 구조를 설계해 운영한 성공 사례”라며 “타 지자체들도 단순 내부순환을 넘어, 실질적 재공급 구조로 나아가야 한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