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조사서…전력반도체기술 등 우위 점해…전 분야 종합적 전략 수립 필요

ⓒ고혜원 기자
ⓒ고혜원 기자

한국의 반도체 기술이 중국에 추월당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실시한 전문가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국은 첨단 패키징을 제외한 모든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 한국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23일 발표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브리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의 반도체 기초역량이 한국을 전반적으로 상회하고 있다.

특히 한국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온 메모리 기술 분야에서도 중국이 기초 역량 부문에서 한국을 추월했다는 평가다.

이번 조사는 반도체 분야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최고 기술 보유국을 100%로 환산했을 때 한국의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은 90.9%인 반면, 중국은 94.1%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력반도체, 센서 등 다른 주요 분야에서도 중국의 우위가 확인됐다.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기술의 경우 중국이 88.3%, 한국이 84.1%를 기록했다.

전력반도체 기술은 중국 79.8%, 한국 67.5%,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은 중국 83.9%, 한국 81.3%로 조사됐다.

유일하게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기초 역량에서만 양국이 74.2%로 동률을 이뤘다.

이는 2022년 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극적인 변화다.

당시에는 5개 기술 분야 모두에서 한국이 중국을 앞서고 있었으나, 불과 2년 만에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중국의 전략적 접근을 지목했다.

"중국이 반도체의 높은 대외 의존도에 경각심을 갖고 2014년부터 반도체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국산화를 위한 정책 추진과 대규모 투자에 나선 결과"라고 분석했다.

기술 생애주기 측면에서도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중국은 공정과 양산 단계에서는 한국에 뒤졌지만, 기초·원천 연구와 설계 단계에서는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이 두 영역에서 비교 대상국 중 최하위를 기록해, 반도체 생애주기 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향후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 핵심 인력 유출, AI 반도체 기술 발전, 미중 갈등, 각국의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의 급격한 변화 등을 제시했다.

또한 미국의 정책 변화, EU의 에너지 정책, R&D 투자 동향 등을 고려할 때 한국 반도체 산업의 전망이 밝지 않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보고서는 인재 양성과 핵심 인재의 유출 방지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해서는 기초 연구부터 응용 기술까지 전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