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건설사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을 신청하면서 PF 사업장의 사업성 제고와 부실사업장의 체계적 정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동향브리핑을 통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의 여파가 PF 부실위험의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전반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최소화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도급순위 16위인 태영건설은 지난달 28일 워크아웃을 신청했고 정부는 같은날 곧바로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일부터는 건설산업 신속대응반을 운영하는 등 신속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시장에서의 위기감은 여전한 상황이다.
2022년 하반기 발생한 신용경색사태 이후 부동산시장 침체로 다수의 사업장에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이 여파로 인해 지난해 개발사업에 PF 공급에 문제가 발생했다.
또 부동산시장에서의 수요침체와 공급여건 악화가 중첩되고 부실채권 처리가 지연되면서 잠재적 부실규모가 확대됐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부실사업장에 대한 정리 가능성을 시사하자 또다시 PF 공급이 위축됐고 태영건설 등 워크아웃 사태로 심화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류가현 기자
0705_24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