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 만에 3천호대 진입…해제 기준 332호 이하 근접…10월말 기준 3896호 집계…추세 지속 시 3달 후 해제 예상…남구 대단위 분양 앞둬 미지수
포항 미분양세대수가 12개월만에 3천호대로 진입하면서 미분양관리지역 해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포항이 미분양관리지역에서 해제되기 위해서는 미분양이 3천32호 이하를 달성해야 한다.
포항시에 따르면 10월말 기준 포항지역 미분양은 3천896호로 집계됐다.
전월대비 263호가 감소했지만 미분양관리지역 해제까지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 결과 5일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제82차 미분양관리지역 선정·공고를 내며 포항을 포함했다.
지난 2월 개선된 미분양관리지역 선정기준은 미분양세대수가 1천호 이상이면서 공동주택재고수 대비 미분양세대수가 2% 이상을 공통요건으로 하고 있다.
또 미분양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등 선택요건 3가지 중 1가지를 충족해야 한다.
포항은 공통요건 가운데 1천호 이상과 공동주택재고수 대비 미분양세대수 비율이 2.57%인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요건 미분양 해소 저조를 충족해 선정됐다.
미분양 해소 저조의 경우 당월 미분양세대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세대수의 2배 이상인 지역이거나 최근 3개월간 미분양세대수가 1천호 이상이며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세대수 감소율이 10% 미만인 달이 있는 지역으로 하고 있다.
포항은 후자인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세대수 감소율이 10% 미만이 있는 달에 포함됐다.
최근 3개월간 감소율은 모두 1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중 가장 많은 미분양이 감소한 9월은 10.0%였고 8월 6.9%, 10월 6.3%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차전지 특화단지 선정 후 최근 3개월을 보면 1천68호의 미분양이 해소됐고 월평균 356호가 감소해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3개월 후에는 미분양관리지역에서 해제될 전망이다.
반면 지역부동산업계는 당분간 미분양관리지역 해제는 어렵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급속도로 감소한 단지들은 중도금대출 실행 등을 할 수 있는 일정수준의 분양률을 기록해 앞으로는 감소추이가 더딜 전망이다는 주장이다.
또 남구에 대단위 공동주택 분양이 앞두고 있어 미분양이 증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부동산업 관계자 A씨는 “다음달로 예정돼 있는 상생공원 공동주택이 분양하게 되면 미분양주택수 증가는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며 “지금 같은 감소율은 기대하기 어렵고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단지의 분양가가 공개되면 청약 돌풍이 일면서 지역 부동산 경기가 살아날지 아니면 또다시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지 단정짓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미분양관리지역은 포항을 포함해 경주, 대구 2곳(중·남구), 울산 울주군, 전남 광양시, 충북 음성군 등 전국 7개 지역이 선정됐다.
포항에 인접한 경주의 공동주택재고수 대비 미분양세대수 비율은 2.27%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