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숙 기자
©김창숙 기자

포항지역에서 추진 중인 아파트·주상복합 건립사업이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목적과 달리 사업수익에 급급한 나머지 부지 내 공공시설 및 기반시설 확보를 외면하고 다른 지역에 대체 용지를 마련하는 등 변칙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논란이다.

포항시는 이 과정에서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용 지침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 같이 변칙 방안으로 마련한 사업 계획을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하는 등 지구단위계획 관리·감독에 전반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지구단위계획구역이란 난개발을 방지하고 개발 수요 집단화함과 동시에 기반 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구역으로 체계적인 개발 또는 관리를 위해 지정하며 이 때 용적률과 건폐율, 높이 등을 제한 또는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포항시는 3월 옛 에스포항병원 자리 49층 주상복합에 이어 이달 중 GS더프레시 연일점 자리 46층 아파트, GS더프레시 죽도점 옆 47층 주상복합, 필로스호텔 자리 47층 주상복합 등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과 관련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을 앞두고 있다.

이들 사업 대부분은 지구단위계획구역 내에 부지 및 공공시설 등을 제공토록 하는 관련법과 달리 사업부지와 다른 지역에 대체용지를 배분하게 하는 등 지구단위계획이라고 볼 수 없는 사업계획을 수립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