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 풍력발전 R&D후 개발 착수
영덕풍력·동서발전 등 사업성 확보차원 70여㎽급 우선 추진
투 트랙이지만 전체 풍력단지계획에는 차질 없이 추진

ⓒ윤주희 기자

영덕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산악지형 풍력단지 리파워링 사업이 민간과 영덕군이 각자의 로드맵을 밟으며 상호 협력하는 투-트랙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영덕군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지난해 8월 민간투자 8000여억원을 포함한 총 사업비 1조여원으로 풍력발전을 육성하는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지정받았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에서 산악지형 풍력발전기 리파워링 사업 대상지역은 지난 2005년 2월부터 1650㎾급 24기의 풍력발전기가 운영되고 영덕읍 창포리 산70번지 일원이다.

이 지역은 영덕풍력발전이 60% 상당의 부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영덕군 소유의 군유지가 40% 정도다.

영덕군이 공을 들이고 있는 산악지형 풍력단지 리파워링 사업은 40% 상당의 군유지에 시행될 사업으로, 45억원의 예산을 수반한 리파워링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에너지기술평가원의 R&D사업 선정을 기다리고 있다.

영덕군은 풍력단지 리파워링 R&D사업을 통해 3년 동안 사업추진의 밑그림을 그린 이후 풍력발전기의 적용을 위한 주민참여형의 본격적인 풍력발전 개발 사업에 착수하게 된다.

개발 사업에는 한수원, 한전기술 등 에너지공기업과 영덕풍력발전, 코오롱글로벌 등 민간사업자들이 함께 실증단계부터 참여하는 전략이 예정돼 있다.

영덕군의 로드맵과는 별개로 영덕풍력발전㈜ 등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는 리파워링 사업은 한층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영덕풍력발전과 동서발전 등 민간사업자는 현재 국산 개발이 완료된 4㎽ 이상의 풍력발전기를 세우기 위해 조기에 리파워링 사업을 추진할 것이기에 3년간의 R&D사업을 거치는 영덕군보다 훨씬 일정이 빠르다.

한국전력과 전력계통 연결라인을 일찌감치 맺고 있는 영덕풍력발전, 동서발전 등 민간사업자의 경우, 사업성 확보를 위해 영덕군의 일정에 맞춰 리파워링을 머뭇거릴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영덕풍력발전 관계자는 “영덕군에서 추진하는 리파워링 사업과 관계없이 자체적인 리파워링을 서두를 것”이라며 “사업성 확보를 위해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리파워링을 조기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체적인 풍력에너지단지 계획에는 벗어나지 않게 영덕군과 긴밀한 협조관계를 가지며 투-트랙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며 “민간사업자들이 먼저 리파워링을 통해 대략 70여㎽ 발전용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존 풍력발전기가 운용되고 있는 부지를 최대한 사용해 환경훼손의 여지를 최대한 줄이고 현재 해맞이공원 내 많은 시설들을 피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추진될 것”이락 덧붙였다.

한편 5000여억원의 사업비가 계획돼 있는 해상풍력단지는 인근 주민들의 반대 등 주민 수용성 확보 문제에 부딪혀 한 발자국도 못 나가고 있다.

산악지형은 주민수용성 확보로 주민참여형이 결정됐지만 대게산지인 영덕군의 특성에 어민들의 반대가 심한 것이 주민수용성이 확보되지 않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덕군은 강구면 하저리, 축산면 경정리 등 13개 마을 앞 10여km에 100MW급 대형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예정했지만 어업권 보존을 위한 어민단체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혔다.

이 때문에 영덕군은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사업의 마지막 단계로 추진을 예정한 해상풍력단지가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사업 포기까지 감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