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구는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세로 전환된 반면 경북은 철강과 화학 부문의 부진이 겹치며 수출 감소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대경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대경권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분기 대비 4.5% 증가했다.
금속가공(16.9%), 의료정밀광학(31.7%), 전자·통신(2.8%) 등이 호조를 보이며 제조업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1차금속(-3.7%), 의약품(-9.9%), 가구(-39.8%) 등 일부 업종은 수요 둔화가 이어지며 하락세를 기록했다.
수출과 건설경기는 여전히 부진하다. 3분기 대경권 수출액은 125억 5,800만 달러로 3.2% 감소했다.
무선통신기기(23.1%), 비철금속(19.9%) 등은 증가했지만, 방송기기(-22.4%), 철강판(-29.8%), 합금강판(-14.6%) 등 지역 주력 품목이 약세를 보이면서 총액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
건설수주액도 1조 8,519억 원으로 19.5% 줄었다. 공종별로는 토목이 13.4% 증가했으나 건축 수주가 34% 급감하며 전체 흐름을 끌어내렸다.
대구는 전체 흐름과 달리 수출이 14.2%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여줬다. 기타 유기·무기화합물(88.6%), 전기·전자 기타제품(64.0%), 인쇄회로(40.1%) 등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반면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이 무려 816.8% 급증하며 지역 제조업 전방 투자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고용지표도 비교적 안정적이다. 대구 고용률은 58.1%로 0.1%p 상승했으며 취업자는 1,216,100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서비스업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었고 제조업·건설업은 감소했다. 실업률은 2.6%로 0.2%p 하락했다.
물가도 안정적 흐름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1.8%, 생활물가지수는 2.0%, 상품물가는 2.2% 상승하는 등 대부분 품목에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순인구는 466명 유입됐지만, 20대(-501명), 60대(-207명) 등 특정 세대의 순유출이 지속됐다. 구·군별로는 서구(1,688명), 중구(1,044명) 순으로 인구가 증가한 반면 달서구(-867명), 달성군(-760명)에서 빠져나오는 흐름이 이어졌다.
경북은 광공업생산이 3.4% 증가하며 나름의 회복세를 보였다. 금속가공(23.1%), 의료정밀광학(42.0%), 식료품(10.7%)이 증가한 반면 1차금속(-3.6%), 의약품(-16.6%) 등은 부진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1.4% 증가하며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반면 소매판매는 0.9% 감소하는 등 소비 회복세는 여전히 미미하다.
지역 경기의 핵심인 수출은 6.4% 감소했다. 경북 경제 비중이 큰 철강·화학류에서 부진이 이어지면서 전체 지표를 끌어내렸다. 특히 철강판, 방송기기, 기타 화학제품 등이 모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인구 유출은 더욱 뚜렷하다. 경북은 3,932명 순유출을 기록했으며, 20대(-2,629명), 10대(-784명), 30대(-668명) 순으로 빠져나감이 두드러졌다.
시·군별로는 영천(-634명), 포항(-633명), 칠곡(-549명)에서 유출이 컸고, 반대로 경주(+108명), 구미(+66명)는 소폭 증가했다.
대경권 경제는 생산과 고용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났지만, 수출·건설·인구에서의 구조적 약점이 여전히 뚜렷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철강·화학 중심의 경북과 서비스 중심의 대구가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면서 지역 내 산업 구조 차이가 경기 격차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지역 경제 전문가들은 “제조업 생산 회복이 뚜렷하지만 수출이 반등하지 않으면 경기가 본격 상승 국면으로 전환되기 어렵다”며 “지역 산업의 공급망 구조·수출시장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