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인재가 조기에 산업 현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학·석·박사 과정을 5.5년 만에 끝낼 수 있는 초고속 패스트트랙을 신설하고, 거점국립대를 AI 거점대학으로 집중 육성하는 등 전 생애주기에 걸친 AI 교육 강화 정책이 추진된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하며 “AI 인재 육성은 국가 생존 전략”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AI 특화 인재의 조기 육성을 위해 통상 8년 이상 걸리는 학·석·박 과정을 통합해 5.5년 만에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패스트트랙을 도입한다.
20대 초·중반에 AI 연구자·개발자로 산업계에 투입될 수 있는 초고속 양성 프로그램이다.
또 AI 연구경쟁력을 위해 정년을 초월해 최고 석학이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국가석좌교수제’ 도입도 검토한다.
이 제도는 정년퇴직 후에도 연구·교육 활동을 이어가며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예외 규정을 허용하는 방안이다.
해외 대학이 정년퇴직 한국 석학을 적극적으로 영입하면서 국내 고급 인력 유출이 이어지는 현실을 고려한 조치다.
교육부는 내년도 AI 인재 양성을 위해 초·중등 교육에 9천억 원, 고등 교육에 5천억 원, 총 1조4천억 원을 투입한다.
과학고·영재학교 등 AI 특화 교육 프로그램은 올해 14곳에서 내년에는 전체 27개교로 확대된다. AI 입학 전형도 늘려 과학·수학·정보 역량을 가진 학생을 선발한다.
지역 균형 문제도 고려해 거점국립대를 AI 거점대학으로 집중 육성한다.
내년에 3개교를 선정해 300억 원을 지원하고 GPU 등 AI 연구 인프라 구축에 힘을 보탠다. 국립대와 지역 중소대학이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연합 연구단’도 BK21 사업에 새로 도입한다.
또 대학 정원 규제도 완화한다. 기업과 협업하는 계약학과·계약정원제를 지속 확대하고, 기업이 직접 AI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사내 대학원 설립을 장려한다. 산학 연구성과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산업학위제도 도입된다.
중등 교육에서도 AI커리큘럼이 대폭 강화된다. AI 특화 마이스터고를 새로 지정하고, 마이스터고 전공과목 전체에 AI를 활용하는 재구조화 사업을 매년 7개교씩 확대해 2030년까지 35곳을 지정한다.
직업계고 학과 내 AI 교과목 비율도 20%→2030년 50%로 크게 늘린다.
일반 학생도 AI 기본 교육을 받도록 ‘AI 중점학교’를 2028년까지 2천 곳으로 확대(현재 730곳). 정보 교과 시수를 확대하고 AI 기반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비전공 대학생을 위한 AI 교양교육도 강화된다. 거점국립대 중심으로 AI 기초, AI 윤리, 전공 결합형 AI 융합과목 등을 제공하고 내년 30개 대학에서 신규 강좌가 개설된다.
성인 학습자도 지원한다. 직장인을 위한 AID(인공지능·디지털) 과정 확대, 디지털 평생교육 이용권 확대로 30세 이상 성인이 경제적 부담 없이 AI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 장관은 “AI 인재 양성은 국가의 미래 경쟁력과 직결되며, 모두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AI를 활용하고, 다양한 분야의 AI 인재가 탄생하도록 교육부가 전방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전 세계적으로 AI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인재 확보 전쟁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