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누출 후 신고도 안 해…“위험의 외주화 중단·진상조사 공개 촉구”

포항제철소에서 하청노동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돼 숨진 사고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포항시남구울릉군 지역위원회가 “포스코는 책임 있는 자세로 사태에 임하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위원회는 6일 성명을 내고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하청노동자 사망사고는 안전불감증이 만든 참사”라며 “즉각적인 진상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고는 지난 5일 오전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발생했다. 하청업체 근로자 4명이 유해가스에 노출돼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

사고 직후 포스코가 경찰이나 소방당국에 즉시 신고하지 않고 자체 수습에 나선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커졌다. 병원 응급실에서 ‘변사자 발생’ 신고가 접수된 뒤에야 관계기관이 사고를 인지했다.

위원회는 “피해노동자들이 불산으로 추정되는 물질에 노출됐음에도 안전모 외에 보호장비조차 지급받지 못했다”며 “포스코는 화학물질관리법상 ‘15분 내 신고 의무’를 어겼다. 이는 명백한 법 위반이자 생명경시 조직문화의 단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포스코는 하청노동자에게 위험을 떠넘기는 ‘위험의 외주화’를 중단하고, 원청이 안전관리 전반을 직접 책임져야 한다”며 “보호장비 지급, 안전교육, 현장감독 의무를 포함한 모든 관리책임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정부와 수사기관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면서 “유해물질 누출 후 신고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 엄정한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포항시에는 지역 내 대형사업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전수 점검하고, 산업재해 예방 행정을 강화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사고는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4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일터에서 다치거나 목숨 잃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근로감독관 2천명 증원과 ‘일터 지킴이’ 제도 신설을 발표한 직후 발생했다.

위원회는 “정부의 안전대책이 선언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이 즉시 작동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위원회는 “포스코는 세계적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안전체계 혁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