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 복구 현장서 청년공동체 활동 격려… 사회연대경제의 새로운 활력 모색
경상북도 안동의 산불피해지역은 청년과 마을이 함께해 사회연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3일 안동시 길안면을 찾아 지역청년공동체의 복구 활동 현장을 살펴보고, 마을기업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이번 방문은 단순한 위로를 넘어, 청년의 참여와 공동체의 협력을 통해 지역이 스스로 살아나는 기반을 다지는 계기로 평가된다.
김 차관은 현장에서 산불로 피해를 입은 농가 복구 작업에 직접 참여하며, 지역청년공동체 구성원들과 활동 현황을 공유했다. 올해 추진된 ‘지역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재난으로 침체된 지역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마을 정비, 심리·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재민 지원 활동 등을 펼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지역 청년들이 단순한 지원자가 아닌 ‘회복의 주체’로 나서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김 차관은 “청년들의 손길이 지역사회 회복의 씨앗이 되고 있다”며 “산불피해 지역이 청년공동체 활동을 통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차관은 안동에서 열린 ‘2025년 마을기업 워크숍’에 참석해 마을기업 발전에 기여한 19명의 유공자에게 장관 표창을 수여했다. 표창 대상에는 서울의 ㈜마을무지개, 경북의 동네언니협동조합 등 전국 각지의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포함되었다.
김 차관은 “마을기업은 지역 성장과 공동체를 지탱하는 든든한 힘”이라며, “행정안전부가 마을기업이 사회연대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번 행정안전부의 행보는 ‘청년 중심의 지역 회복’과 ‘사회연대경제 활성화’라는 두 축이 맞물린 정책적 신호로 해석된다.
우선, 청년공동체의 활동은 지역의 복구 과정에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단순한 일시적 봉사가 아닌, 지속 가능한 지역 재생의 거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마을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 지원은 지역 일자리 창출과 공동체 기반 경제의 확산에 기여할 전망이다.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모델로,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실질적 해법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안동을 비롯한 산불피해 지역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정부, 청년, 주민 간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재난 이후 공동체 회복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번 행사는 단순한 복구 지원을 넘어, 지역이 스스로 살아나는 ‘자립형 지역 회복 모델’의 출발점이자, 청년이 주체가 되는 사회연대경제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