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훈 경북연구원 “새마을·산단 노하우 수출, 지역형 포트폴리오로 뚫자”....국제 ODA 수요 급증…KOICA·EDCF 매칭·PPP로 재원 다변화 절실

경북 건설업이 내수 침체와 출혈경쟁의 이중고를 넘기 위한 해법으로 ‘도시개발 ODA(공적개발원조)’가 부상했다.

정성훈 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시개발 ODA는 경북 건설업의 신성장 동력”이라며 “지자체·공공·민간이 결합한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글로벌 사업을 선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우리나라는 OECD DAC 가입국으로 ODA 수행 의무가 있고, 2024년 기준 ODA 지원 규모 순위가 13위로 상승했다. 정부도 지자체의 ODA 참여를 적극 독려 중이다.

정 연구위원은 “국가 위상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일거양득’”이라고 평가했다.

경북 건설업은 GRDP 내 건설 비중(6.1%)과 건설투자 비중(25.8%)이 전국 평균보다 높지만, 최근 지역 수요 위축·SOC 축소·하도급 고착으로 생존기를 겪고 있다.

“대기업은 수도권 본사 중심으로 대형공사를 독식하고, 지역사는 영세·저수익 구조에 묶여 있다”는 것이 현장의 진단이다.

반면 외부 시장은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의 도시 인구 급증으로 스마트시티·주거·상하수도 등 도시 인프라 수요가 확대되고, 국내 도시개발 ODA도 2013년 33억 원에서 2025년 322억 원으로 약 10배 늘었다. 정 연구위원은 “팬데믹 일시 충격을 제외하면 꾸준한 팽창 국면”이라고 봤다.

경북의 강점은 분명하다. 새마을 세계화, 경주 보문단지 개발 등 ‘브랜드·경험·노하우’를 이미 보유했고, 신도시 조성·산단 운영·PM 역량도 축적돼 있다.

KOICA·행안부 등 중앙과의 협업 채널도 강점이다. 다만 대규모 자금의 대외 의존, 현지 네트워크·법규 차이, 수원국 리스크는 약점·위협 요인으로 꼽힌다.

해법은 ‘시그니처+포트폴리오’다. 첫째, 경북형 시그니처 사업을 육성한다. 새마을·커뮤니티 개발을 도시재생·생활SOC와 묶어 정부(행안부·외교부·KOICA) 연계 대형사업화한다.

둘째, 지역별 포트폴리오를 짠다. ▲구미·포항·김천·경산 등 산업도시는 산단 인프라·직업훈련 수출 ▲경주·안동·문경 등은 문화유산 기반 관광·재생 ▲영주·봉화·예천·영양 등은 농촌 종합개발(생계·물관리·기후적응) ▲영덕·울진·포항 해안은 어업·해안관리·해양관광 ▲의성·청송·영양 등 인구감소지는 회복력형 생활서비스 ▲울릉은 도서형 에너지·물류·응급의료 모델을 제안한다.

셋째, 재원은 혼합형으로 다변화한다. KOICA(무상)·EDCF(유상)·민관합작투자(PPP)를 병행하고, 지역 공기업·민간기업·NGO를 엮어 ‘기술+인력+운영’ 통합패키지를 설계한다.

넷째, 기초지자체를 위한 원스톱 허브(가칭 ‘경북 국제ODA개발협력센터’)를 설치, 사업 기획–사전타당성–국제 파트너 연계–모니터링을 통합 지원한다.

다섯째, 표준화가 관건이다. 논리모델·예산·성과지표를 템플릿화해 중앙부처 연간 ODA 계획과 정합성을 맞추고, PM&E(성과관리)와 사후관리 체계를 내재화한다.

여섯째, 전담조직을 상시화하고 분기 포럼으로 정부·지자체·민간의 파트너십을 고도화한다.

정 연구위원은 “경북형 ODA의 핵심은 ‘현지 수용성’과 ‘지속가능 운영’”이라며 “설계·시공을 넘어 운영주체·수익구조까지 설계해야 진짜 경쟁력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업도시는 ‘기술+직업훈련’로, 관광도시는 ‘문화유산+소득창출’로, 농산어촌은 ‘물관리+생계개선’로, 도서지역은 ‘마이크로그리드+응급의료’로 각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질문은 하나다. ‘지역의 경험을 글로벌 규격으로 바꿀 준비가 되었는가.’ 도시개발 ODA는 경북 건설업에 새로운 주문을 던지고 있다.

내수 의존을 넘어 글로벌 프로젝트를 따내려면, 경북은 지금 ‘브랜딩·자금·파트너십·성과관리’의 4박자를 맞춰야 한다. 지금이 재도약의 창(窓)이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