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이 사상 처음으로 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며 ‘안정 운용’에서 ‘수익 극대화’ 전략으로 무게추를 옮겼다.

저출산·고령화로 기금 고갈 우려가 커지자 채권 중심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글로벌 투자에 나선 것이다.

3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적립금은 1,269조원. 이 중 주식 투자액은 635조원(50.1%)으로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불과 10년 전인 2015년 말 주식 비중 32.2%, 채권 56.6%였던 것과 비교하면 구조가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현재 채권 비중은 33% 수준이다.

기금 운용 전략 변화는 단순한 자산배분 조정이 아니다. 연금 수급자 증가, 납부자 감소가 현실화되며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춰야 한다는 부담이 커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평균 수익률이 1%포인트만 높아져도 기금 고갈 시기를 수년 미룰 수 있다. 국민연금이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수익률을 높여야 한다”고 판단한 이유다.

눈에 띄는 점은 주식 비중 확대의 중심이 해외 시장이라는 점이다. 전체 주식 비중 50.1% 중 국내는 14.9%(189조원), 해외는 35.2%(446조원)다. 해외 비중이 두 배 이상 높다.

이는 △리스크 분산 △국내 시장 충격 최소화라는 목적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다. 국내 증시에서 국민연금의 매수·매도는 지수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과도한 시장 쏠림을 피하는 동시에 글로벌 성장 기회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세계 금융시장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200조원을 넘는 세계 최대급 연기금이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면서 글로벌 자금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미국·유럽 대형 기술주, AI·바이오·친환경 산업군에 대한 추가 투자가 예상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주식 50% 돌파는 일회성 숫자가 아니라 연금 재정 안정성을 위한 구조적 변화”라며 “앞으로 글로벌 주식 중심의 적극 운용기조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의 ‘공격 운용’은 결국 국민 노후를 지키기 위한 선택이다. 주식 비중 확대가 기금 수익률 개선으로 이어질지, 연금 재정 안정성 확보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