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경쟁·고금리 여파에 철강업계 위기감 고조…“자동차·반도체만 산업 아니다”

▲ 박용선 경북도의원은 3일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미 철강관세 협상 재개를 촉구했다ⓒ경북기자회
박용선 경북도의원이 정부를 향해 한·미 철강관세 협상 재개를 촉구하며 강한 메시지를 던졌다.

포항의 경제·고용 기반인 철강산업을 외면할 경우 지역 몰락과 국가 제조기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절박한 지적이다.

박용선 경북도의원은 3일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동차와 반도체만이 대한민국의 산업이 아니다. 한국 산업을 세운 뿌리는 철강”이라며 “이제는 선언과 약속이 아니라 결과를 보여줄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2018년 이후 미국의 고율 관세로 국내 철강을 둘러싼 수출 길이 막히고 지역 일자리가 줄었다”며 “최근 자동차·반도체 분야가 관세 협상 테이블에 오른 반면 철강은 제외됐다. 산업 균형을 맞추지 못하면 제조업 기반이 흔들린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기로 산업 규제 완화 및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도 함께 요구했다.

“전기로 전환이 지연되면 탄소 정책과 통상마찰 문제가 동시에 발생한다”며 “철강 특성을 반영한 전기요금 개편이 없다면 경쟁력이 무너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포항의 땀과 노동이 나라를 일으켰다. 이제는 정부가 응답할 차례”라며 “정치적 수사(修辭)가 아니라 실질적 협상 결과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행동으로 보여줄 때까지 포항 시민들은 싸움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 산업계 관계자는 “철강 생태계는 포항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 체계와 직결된다”며 “관세·전기요금 등 직접 규제 개선 없이는 생산 기반 약화가 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