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오전 대구시 산격청사에서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 감사에서 이성권(부산 사하구갑) 의원이 대구취수원 이전 관련 문제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영남경제 자료

대구시가 숙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취수원 이전 문제가 또 다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27일 오전 대구시 산격청사에서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 감사에서 국민의힘 이성권(부산 사하구갑) 의원은“대구시가 '30여년간 식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질타했다.

이 의원은 “(대구시 취수원의) 구미시 해평안 이전 협정체결을 환경부가 주도했는데 (대구시가) 2024년 안동댐 이전안을 공식화하고 정권이 바뀐 뒤 환경부의 입장이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환경부 답변은 안동댐안을 고집하지 않고 해평안이나 제3의안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고려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구취수원은 장기간 논의 끝인 권영진 대구시장 당시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사용하는 것으로 사실상 확정됐지만, 홍준표 시장이 취임한 이후 돌연 해평 이전안은 백지화되고 '안동댐 이전안'이 급부상했다.

이후 홍 시장이 대선 출마를 이유로 대구시장에서 중도 사퇴하자 안동댐 이전안도 지지부진하면서 다시금 해평 이전안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취수원 이전 논의가 장기간 돌고 돌아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이 과정에서 수십 년 동안 식수 안전을 위협받았던 대구시민들의 건강권과 생명권이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다는 비판여론이 커지고 있다.

이 의원은 “물 문제는 생명과 직관된다. 정책안정성을 깬 지자체 무책임과 정부가 바뀌었을 때 마다 변하는 정책, 대구시의 의지 등이 식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일상적으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자체장이 바뀔 때 마다 문제가 벌어지고 있다" 면서 " (정부와) 소통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