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소득기대 둔화’ 벽에 막혀 미래 소득 늘어도 집값 감당 못 한다는 인식 확산… 유동성은 증시로 이동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부동산 부양책을 내놓고 있지만, 시장 회복세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 근본 원인으로 국민들의 ‘소득기대 둔화’, 즉 미래 소득이 주택 가격을 감당할 만큼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점을 꼽는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财新)은 21일 보도를 통해 지난 9월 신규주택 평균 가격이 전월 대비 0.41% 하락해 올해 들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각종 부양정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수치도 부진하다. 올해 3분기 부동산 개발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3.9% 급감했고, 신축주택 판매면적과 판매액은 각각 5.5%, 7.9% 줄었다. 국가통계국은 같은 기간 전체 고정자산 투자가 0.5% 감소했지만, 부동산을 제외하면 오히려 3% 증가했다고 밝혀, 부동산 경기 둔화가 경제 전반에 미친 충격을 시사했다.

이 같은 침체는 지난해 9월 중국 정부가 내놓은 ‘9·24 금융완화 패키지’ 이후 더욱 두드러졌다. 해당 정책은 지준율 인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 등 통화·부동산·자본시장을 망라한 종합 부양책이었다. 당시 상하이와 선전 증시는 각각 43.66%, 62.02% 급등하며 활기를 되찾았지만, 부동산 시장은 반대로 하락세로 돌아서며 ‘증시와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을 보였다.

특히 올해 4월 이후 1선 도시의 신규 및 중고주택 가격이 일제히 마이너스권에 머물며 하락세가 고착화됐다. 이에 베이징·상하이·텐진 등 지방정부는 각종 규제 완화 조치를 내놨고, 중앙정부도 노후 주택 재건축 등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반등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국민의 ‘소득기대 둔화’에서 찾고 있다. 국신증권(国信证券)은 “중국 국민들이 향후 소득이 충분히 늘어나지 못할 것으로 인식하면서, 주택 구매에 대한 심리가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소득기대 둔화 → 주택가격 기대 하락 → 구매 위축이라는 악순환 구조가 고착화됐다는 것이다.

차이신은 “한국처럼 토지 부족이나 재건축 규제가 강한 시장은 ‘집값은 결국 오른다’는 심리가 작용하지만, 중국은 공급 여력이 커서 부동산이 실제 구매력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분석했다. 반면 증시는 AI(인공지능) 혁신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유동성을 흡수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시장 심리 안정이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중국지수연구원(中国指数研究院)은 “이미 발표된 정책들이 4분기 중속도감 있게 시행될 경우, 비관적 심리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가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