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25%→하반기 50% ‘급등’...영업이익 전액 ‘관세로 증발’...EU도 50% 부과 예고 ‘이중 충격’
미국발 철강 관세폭탄이 국내 철강 양대 축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수익성을 정면으로 강타했다. 두 회사가 올해만 미국 측에 납부해야 할 관세 규모가 약 4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양사의 2분기 영업이익을 모두 합친 수준으로, 사실상 미국 수출분에서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10일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실이 포스코와 현대제철로부터 제출받은 ‘대미 관세 납부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부터 12월까지 두 회사가 미국에 납부해야 할 관세는 총 2억8100만달러(약 4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철강 분야에 50% 고율관세가 적용된 이후 처음 공개된 구체적 납부액이다.
포스코는 미국 내 수입·판매를 담당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을 통해 관세를 납부하고, 현대제철은 본사와 중계상사가 품목별로 분담하지만 결국 모든 부담은 현대제철이 지는 구조다.
자료에 따르면, 관세율이 25%였던 3~5월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낸 금액은 각각 1,150만달러·1,220만달러·3,330만달러였다.
하지만 6월 관세율이 50%로 상향되면서 납부액은 단숨에 4,260만달러로 급증했다.
3~8월 동안 납부한 총액만 1억4,700만달러(약 2,100억원)에 달하며, 9~12월 추가 부담액은 1억3,400만달러로 추산된다.
박수영 의원실은 “올 상반기와 평년 수출 물량, 시장 상황을 토대로 추산한 결과”라며 “관세가 연말까지 지속되면 연간 부담액이 4천억원을 넘길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두 회사의 2분기 영업이익을 합하면 약 4천억원 규모다. 포스코홀딩스는 철강가격 하락과 글로벌 수요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현대제철 역시 원가 부담과 내수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2천억원대에 머물렀다.
결국 올해 미국 관세 납부액만으로 두 회사의 분기 이익이 사실상 전액 상쇄되는 셈이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관세 50%는 사실상 수출 중단 수준의 압박”이라며 “이미 미국향 고급강판 판매가 줄고 있으며, 물량을 동남아·유럽 시장으로 돌리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에 이어 EU(유럽연합)이 최근 동일 품목에 대해 50% 수준의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업계는 “불난 집에 벼락”이라며 긴장하고 있다. 유럽 수출 비중이 10% 안팎인 포스코, 7% 수준인 현대제철 모두 추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박수영 의원은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을 모두 미국 관세 납부에 써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재명 정부는 철강·자동차 등 핵심 수출 산업의 위기를 외면하지 말고 한미 관세 협상을 조속히 타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틀 내에서의 조기 협상 및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병행을 주문하고 있다.
재계 전문가들은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이후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고율관세를 상시화하는 가운데, 한국산 철강까지 겨냥한 것은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신호”라며 “정부가 민간기업의 협상력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국가 차원의 통상 대응 시스템을 즉각 가동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각각 내부적으로 손익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향후 수출 물량 조정, 제품 믹스 변경, 현지 법인 강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단기적 자구책만으로는 버티기 어렵다”며 정부의 외교·통상적 해결을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