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2차 매입 신청 6185호…경북 최다, 대구도 개선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하는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진행된 2차 접수에서는 전국 82개 단지에서 총 6185호가 신청됐다. 이는 지난 1차 접수(3536호) 대비 약 75% 늘어난 규모로, 제도 개선과 매입 상한가격 상향 조정이 실질적인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
주목할 점은 지역별 신청 분포다. 경북은 10개 단지 1256호로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대구 역시 7개 단지 325호가 접수돼, 1차 때의 286호보다 증가했다.
대구·경북은 최근 몇 년간 전국에서도 미분양이 집중된 지역으로 꼽혔는데, 이번 접수 결과는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다소 완화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경북의 대규모 신청은 그간 누적된 미분양 물량이 제도 개선을 통해 시장에 풀릴 여지가 커졌음을 의미한다.
이번 성과의 배경에는 LH의 정책적 유연성이 자리한다. 매입 상한을 감정가의 90% 수준으로 올린 점이 매도자의 참여를 끌어냈고, 상한을 초과하는 희망가 제시 시에도 매입 기회를 부여한 점은 거래의 ‘막힘’을 풀어준 결정적 장치가 됐다.
이는 단순한 가격 보정이 아니라, 매입 시장에서의 신뢰 회복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다만 과제도 남아 있다. 신청 물량 중 실제 매입은 내년 3000호로 제한돼 있고, 나머지는 2026년 초로 넘어간다. 그 사이 지역 경기 상황이나 주택 시장의 흐름이 변할 수 있어 정책 효과의 체감도는 지역별로 엇갈릴 수 있다.
특히 대구의 경우 여전히 신규 분양 물량이 많고 인구 유출 우려가 있어, 단순 매입만으로 시장 안정이 가능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결국 이번 LH의 매입 확대는 ‘단기적 미분양 해소’라는 응급처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지방 주택 시장의 심리 안정, 건설업계 자금 회수, 나아가 지역 경기의 회복 가능성까지 엮여 있는 셈이다. 특히 대구·경북처럼 구조적 미분양이 누적된 지역에서는 이번 매입이 회복의 불씨가 될 수 있다.
한편 그 불씨를 확실한 불꽃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수요 기반 강화 정책, 지역 맞춤형 공급 조정이 병행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