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수출 659억5000만달러...3년6개월 만 최대 실적 달성...관세 영향 실적 둔화 불가피
미국발(發) 관세 충격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수출이 9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관세 파고’를 일단 비껴갔다.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가 고부가 메모리 수요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자동차도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유럽·CIS 등으로 판로를 다변화하며 ‘효자 품목’ 역할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9월 수출은 659억5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 3년 6개월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HBM, DDR5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와 가격 상승세가 겹치며 166억1천만달러로 22.0% 급증, 사상 최초로 월 160억달러 벽을 넘어섰다. 전체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5.2%로 4분의 1을 돌파했다.
자동차 역시 대미 수출은 줄었으나 EU·CIS 시장 확대로 전년 대비 16.8% 증가해 역대 9월 중 최고치를 찍었다.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모두 수출이 늘면서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선박(21.9%), 바이오헬스(35.8%), 가전(12.3%), 일반기계(10.3%) 등도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하며 수출 호조에 힘을 보탰다.
반면 미국 고율 관세의 직접 타격을 받은 철강(-4.2%)과 이차전지(-8.8%), 무선통신기기(-6.9%), 컴퓨터(-13.2%) 등은 부진했다.
지역별로는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주요 지역에서 수출이 늘며 시장 다변화 효과가 가시화됐다.
한국무역협회는 “한국이 강점을 가진 반도체·자동차·선박 등이 미국발 관세 악영향을 상쇄하고 있다”며 “기업들의 수출 다변화 노력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번 성적표를 놓고는 ‘반짝 효과’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추석 연휴가 작년 9월에서 올해 10월로 밀리며 조업일수가 4일 늘어난 영향과, 미국 관세 부과 전 ‘밀어내기식 수출’이 반도체 호조에 일부 기여했을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실제로 9월 일평균 수출액은 27억5천만달러로 양호했지만, 10월에는 열흘 가까운 연휴로 실적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망도 녹록지 않다. 한미 간 3천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 패키지 등 구체 협상이 미완인 가운데, 자동차 25% 관세 효과가 본격 반영되지 않았고 품목별 최혜국대우 적용 여부도 불확실하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이 관세 면제를 어중간하게 적용하면 한국은 EU·일본보다 불리한 조건에 놓일 수 있다”며 “대미 수출은 여전히 험난한 파고가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