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누적치 5년만에 돌파...지자체 예산 맞먹는 규모...작년 7월부터 기관사칭 급증...해외 전화 국내 번호로 위장...발신지 차단 등 대응책 필요

ⓒ임소정 기자
ⓒ임소정 기자

보이스피싱 범죄가 갈수록 조직화·지능화되면서 피해 규모가 폭발적으로 불어나고 있다. 불과 5년 만에 피해액이 4조원을 넘어 15년간 누적 피해액을 단숨에 뛰어넘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상휘 의원(국민의힘·포항남·울릉)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4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1년 예산과 맞먹는 규모로, 피해 증가 속도가 가파르게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계청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범죄가 처음 발생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간 누적 피해액은 3조8,681억원이었다. 그러나 이후 5년 만에 이 수치를 넘어선 것이다.

최근 5년간 유형별 피해액을 보면 ▲2020년 기관사칭 2,144억원, 대출빙자 4,856억원에서 ▲2021년 1,741억원·6,003억원, ▲2022년 2,077억원·3,361억원으로 이어졌다.

▲2023년에는 기관사칭 피해액이 2,364억원, ▲2024년에는 무려 5,349억원까지 늘었다. 특히 2024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1년 만에 기관사칭 피해액이 178% 급증해 범죄 양상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발신지를 추적한 결과, 보이스피싱 콜센터의 94.2%가 중국에 집중돼 있었다. 베트남(4.1%), 태국(0.58%) 등이 뒤를 이었으나 압도적 비중은 중국이었다.

범죄 조직은 VPN과 인터넷망 변작을 통해 해외발 전화를 국내 010 번호로 위장해 추적을 회피하고 있다. 이는 수사기관 대응을 어렵게 하며 피해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피해자 연령별 현황을 보면 2025년 7월 기준 ▲20대 이하 3,534명, ▲30대 1,583명, ▲40대 1,859명, ▲50대 3,217명, ▲60대 3,728명, ▲70대 이상 786명이었다.

특히 60대 피해자는 전년 대비 85.4%, 70대 이상은 29.7% 늘어나 고령층 피해가 두드러졌다. 메신저 피싱 피해자 3,950명 중 72%가 60대 이상으로, 노년층이 사실상 주요 표적이 된 것이다.

이상휘 의원은 “국민의 재산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불과 5년 만에 15년 누적 피해액과 맞먹는 피해가 발생한 것은 정부 대응이 미온적이었음을 방증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보이스피싱은 단순 전화사기가 아니라 국민 재산과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ICT 안보 위협”이라며 “정부는 발신지 차단, 통신망 변작 방지 등 근본적 대응책을 마련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