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직장폐쇄까지 번졌던 임단협 갈등…올해는 위기 속 공존이 관건

현대제철 노조가 파업권 확보에 나서면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 교섭이 다시 긴장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에도 임단협이 해를 넘기며 부분 파업과 직장폐쇄로 이어졌던 만큼, 올해 협상이 연내 타결에 이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조 산하 현대제철 5개 지회는 지난 19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가결했다. 전체 재직 인원 7498명 가운데 7235명이 참여했으며, 이 중 96%인 6449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따라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절차가 결렬될 경우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노조가 파업권을 확보한 것은 교섭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크다. 하지만 노사 모두 올해는 가급적 연내 타결을 목표로 삼고 있다.

철강 업황 악화로 수익성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상호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현대제철의 지난해 실적은 부진했다. 연간 매출은 23조2261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했지만, 영업이익은 1595억원에 그치며 전년 대비 80%나 급감했다. 2022년 영업이익(1조7천억원대)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으로 추락했다.

증권가 컨센서스에 따르면 올해 실적은 매출 23조2229억원, 영업이익 3912억원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보다는 개선되지만 여전히 이익 규모가 크지 않아 사측의 부담은 적지 않다.

노조 측 구체적 요구안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그룹사와 경쟁사의 임단협 결과를 참고해 일정 수준 이상의 임금 인상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포스코 노사는 기본급 11만원 인상, 공헌금 250만원, 우리사주 취득 지원금 400만원, 작업중지권 확대 등에 합의하면서 57년 무분규 전통을 이어간 바 있다. 현대제철 노조 역시 유사한 수준의 처우 개선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특히 올해 협상안에는 작업중지권 문제가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는 산업재해 우려가 있을 경우 노조가 작업을 중단시킬 수 있는 권한으로, 정부 차원에서도 제도화를 논의 중이다. 노사 간 합의 수준에 따라 교섭이 순탄치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의 경우 노조가 냉연 공장 등 핵심 설비를 겨냥한 부분 파업을 단행했고, 사측은 직장폐쇄로 맞대응하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 이번에도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유사한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갈등의 후유증이 큰 만큼 올해는 노사가 연내 합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다만 철강 시황이 좋지 않아 협상 과정에서 강도 높은 줄다리기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