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건설사들 “삼중고에 직면”...대구 미분양 현황, 공급 위축 우려 키워...인프라 현장도 부담 가중

정부가 발표한 ‘노동안전 종합대책’이 TK(대구·경북) 건설업계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반복되는 건설사의 등록 말소와 영업이익의 최대 5% 과징금 부과 등 강력한 제재가 포함되면서, 지역 건설사들의 수익성과 주택 공급 일정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대구·경북 지역 건설업계는 이미 수주 감소와 원자재·인건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대책으로 안전관리 비용까지 의무화되면 사업 추진 여력이 크게 줄어든다는 지적이다.

포항의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대형 현장일수록 안전 인력과 관리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며 “수익성이 악화되면 신규 분양이나 도시개발 사업을 선뜻 추진하기 어려워진다”고 토로했다.

대구 지역 건설사 관계자도 “안전 투자 확대는 불가피하지만, 과징금이나 등록 말소 같은 강력 제재가 추가되면 사업 지속성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며 “결국 지역 업체들은 자금 부담을 견디지 못해 사업 축소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번 대책은 특히 대구 주택시장의 미분양 부담과 맞물려 파장이 커질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대구 미분양 주택은 약 8,500가구로, 전국 미분양 물량의 12%가량을 차지한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달서구·동구 대단지 아파트에 몰려 있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설사들이 추가 비용 부담까지 떠안게 되면 착공 자체를 미루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공급 위축은 장기적으로 지역 주택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정부가 9·7 부동산 대책에서 제시한 연평균 27만호 공급 목표도 TK 지역에서는 달성 난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경북 지역 인프라 건설 현장도 마찬가지다. 한 경북 산업단지 조성 현장 관계자는 “고속도로, 공업단지 같은 대형 인프라 공사 현장은 변수가 많아 사고 위험이 높다”며 “이번 대책이 안전 관리 강화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공사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건설사에 대해 보수적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하나증권은 “비용 증가 정도에 따라 내년 건설사 실적 추정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주택주 투자는 관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키움증권은 “대구는 아파트 공급 비중이 높아 이번 대책의 직접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며 “분양가에 안전관리 비용을 전가하지 못하면 건설 투자 확대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 경제계는 건설업이 지역 내 고용과 내수 진작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만큼, 충격 완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안전 강화 취지는 공감하지만, 지역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구조라면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일정 부분 지원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