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성장 강조 속 한미 협상·검찰개혁·여야 협치 해법 제시할까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두 번째 기자회견을 하루 앞두고 있다.

취임 100일째인 11일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을 슬로건으로 약 90분간 진행되는 이번 회견은 지난 7월 3일 첫 기자회견 이후 70일 만이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취임 100일 만에 두 번째 기자회견을 갖는 사례는 처음으로, 대통령실은 이를 두고 “대국민 소통 강화 의지의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지난 100일간 추진해온 민생 안정과 경제 회복 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미래 성장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인수위 없이 출범한 정부의 기본 방향을 소개했던 첫 회견과 달리, 이번에는 정책의 실행 로드맵을 제시하는 ‘설계도’ 성격이 강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글로벌 경기둔화, 미국발 관세 충격, 내수 부진 속에서도 추진해온 고용·투자 대책과 ‘국민성장펀드’ 등 신산업 지원책을 재차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회복과 성장을 뒷받침할 정책 성과와 구체적인 비전을 국민께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안보 현안은 회견의 또 다른 핵심 축이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 한국 공장에서 체포·구금된 교민의 귀국이 임박한 가운데, 이 대통령이 한미 간 협상 과정과 향후 제도 개선 방안을 직접 언급할지 주목된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됐던 관세 협상, ‘주한미군 미래형 전략화’ 구상 등 후속 조치도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더불어 미중 전략 경쟁과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선명해지는 가운데, 북한 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안보 전략에 대한 대통령의 발언도 관심을 끈다.

이재명 정부의 핵심 개혁 과제인 검찰개혁 문제도 주요 의제로 거론된다. 정부 조직개편을 통해 수사·기소 분리를 단행한 가운데, 검찰의 보완수사권 폐지 여부 등 후속 논의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예상된다.

당정 간 속도와 방식에서 의견차가 있었던 만큼 기자단의 질문이 집중될 가능성도 크다.

여권 내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이어졌던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역시 회견에서 최종 결론이 제시될 수 있다.

과세 기준을 둘러싼 시장 혼란을 정리하고 투자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대통령의 발언은 직접적인 정책 시그널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검법, 사법개혁안 등을 두고 여야가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협치 문제 역시 회견의 중요한 화두다.

최근 여야 대표 회동 이후에도 국회 갈등이 풀리지 않은 만큼, 대통령이 협치 복원에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민생과 개혁을 동시에 강조하는 이번 회견이 향후 국정 운영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