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분배제·안전 강화로 K-노사문화 정착”…기본임금 11만 원 인상·성과분배 PI제 신설 등 성과
이번 합의안에는 기본임금 인상과 성과분배제 신설, 안전 강화 등 조합원의 실질적 권익 향상이 담겼다.
노조에 따르면 이번 잠정합의안은 ▲기본임금 11만 원 인상(자연상승분 별도) ▲철강경쟁력 강화 공헌금 250만 원 ▲세계최고 철강사(WSD) 15년 연속 선정 축하 우리사주 지원금 400만 원 ▲지역사랑상품권 50만 원 지급 등이 포함됐다.
특히 직원 성과분배제(PI) 신설, 임금체계 일원화, 안전심의위원회 신설과 작업중지권 강화, 연구보상제 확대, 고용 안정성 단협 명시 등 제도적 성과가 주목된다.
노조는 "단순한 임금 보전 차원을 넘어 ‘구조적 개선’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번 성과는 철저한 전략과 준비에서 비롯됐다는 평가를 내렸다.
노조는 올해 초부터 교섭TF와 쟁의TF를 동시에 가동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예측하며 협상에 임했다.
흔들리지 않은 조합원 단결, 지난 3년간 축적한 교섭 경험이 힘을 발휘했다는 분석이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 합의는 전략적 교섭력만으로 성과를 이끌어낸 사례”라고 평가했다.
노조는 교섭을 통해 얻은 사회적 영향력을 지역사회로 확장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포항·광양에서 장학사업, 기부활동, 소상공인 살리기 캠페인 등을 추진하며 ‘상생 노조’ 이미지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산업 차원의 대응도 병행됐는데 포스코노조는 전국철강노동자협의회, 포스코그룹노동조합연대와 연대해 정부·국회를 상대로 철강산업 보호 정책을 지속 요구했다.
그 결과 철강재 원산지 증명 의무화, 해외 철강재 관세 부과 등 실질적 성과를 끌어냈다. 이는 산업 경쟁력 확보와 고용 안정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다.
이번 잠정합의는 포스코노조의 비전인 ‘K-노사문화’ 실현의 시험대다. 노조는 투쟁 일변도가 아닌, 교섭과 상생을 통한 성과 창출을 강조해왔다.
실제로 합의안에는 임금·복지뿐 아니라 안전, 연구개발, 지역사회 상생까지 다층적 요소가 담겨 있다.
노조는 “조합원의 작은 행동과 단결, 국민과 지역사회의 지지가 모여 만들어낸 결과”라며 “향후에도 새로운 노사 프레임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