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성장률 4.5%에 머물러…판교 시범분석서 B/C 1.6, 고용유발 1,200명 효과

“민관 협력 거버넌스·규제 완화·첨단 인프라 필요”
국내 공간정보산업이 글로벌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 비해 정체 조짐을 보이면서, ‘슈퍼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국토연구원에서 나왔다.

최근 발간한 국토정책브리프(제1028호)에서 “디지털트윈, 자율주행, 로봇, 드론, 인공지능 등 차세대 산업의 뿌리인 공간정보산업이 국가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산업 클러스터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글로벌 공간정보시장은 연평균 16.6%씩 성장 중이지만, 국내는 4.5%에 그치며 둔화세가 뚜렷하다. 사업체 수와 매출, 종사자 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2018년 5%대에서 2022년 2%대까지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6.7%)과 정규직 비중(98.9%)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높아, 안정성과 수익성이 공존하는 산업으로 평가된다

판교 제3테크노밸리를 대상으로 한 시범 분석에서 공간정보산업 클러스터 조성의 경제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분석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은 1.6으로 나타났으며, 전국 단위로 생산유발효과 2,243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192억 원, 고용유발효과 1,199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30년 운영 기준 내부수익률(IRR)은 9.36%, 순현재가치(NPV)는 1,669억 원으로 사업 타당성도 확보됐다

특히 연구진은 클러스터 전략이 단순한 공간 집적을 넘어 정보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슈퍼클러스터’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물리적 거점뿐 아니라 온라인 협업과 데이터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초연결형 산업 생태계로, 캐나다·태국·덴마크 등 해외 주요국은 이미 국가 차원의 슈퍼클러스터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공공-민간 협력 거버넌스 구축 △디지털트윈 실증센터 등 첨단 인프라 조성 △앵커기업·기관 유치를 위한 규제 완화 △AI·로봇·모빌리티 등 유관 산업과의 시너지 전략이 제시됐다.

이를 연구한 한 연구원은 “정체된 국내 공간정보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과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