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조8144억 투입 대형 프로젝트, 주민·환경단체 반발 변수로
칠곡군이 올해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는 ‘북삼오평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환경 리스크가 사업의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따르면 공사·운영 과정에서 초미세먼지(PM-2.5)와 일부 발암성 물질이 법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면서 주민과 환경단체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삼오평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대상지는 칠곡군 북삼읍 오평리 일원으로, 총 122만㎡(37만평) 부지에 2조 8144억원이 투입된다. 자동차·전자·기계금속 제조업 중심의 산단으로 2031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에 따르면 공사 시 PM-10은 24시간 평균 27.6~196.5㎍/㎥로 대기환경기준(100㎍/㎥)을 두 배 가까이 초과했고, PM-2.5 역시 기준치(35㎍/㎥)를 웃도는 22.4~41.2㎍/㎥로 나타났다.
소음의 경우도 공사시 소음은 55.2~84.1dB(A)로 22개소 중 15개소에서, 공장가동 운영시에는 33.1~59.8dB(A)로 22개소 중 4개소에서 환경보전목표기준을 초과했다.
또 운영 단계에서 포름알데히드(4.19E-05), 니켈(1.65E-04), 6가 크롬(1.15E-04), 비소(6.02E-04) 등 대표적 발암물질 4종이 누적영향평가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장기적으로 주민 건강과 대기질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치라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환경단제 관계자는 “구미·왜관 일대 기존 산단에서도 미세먼지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데, 또 하나의 대형 산단이 들어서면 건강 피해는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또 “청년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환경권은 지역민의 기본권”이라며 “사업 추진 전 대기질 개선 및 발암물질 차단 대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칠곡군과 경북도는 환경 부담을 인정하면서도 보완책 마련을 약속했다.
군 관계자는 “공사 과정에서 비산먼지 억제를 위한 살수 장치, 임시 차단막 등을 설치할 것”이라며 “운영 단계에서도 배출저감시설을 갖추고 산단 내 녹지율(10.6%)을 확보해 대기질 개선 효과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운영시 발생하는 소음도 ‘완충녹지를 확보하고 건축선을 최대한 이격하며 저속 회전기기 선정, 기계실의 수음실 최대 이격, 방음 및 흡음제 사용’ 등을 저김방안으로 제시했다.
또 발암물질은 입주업체별 배출오염물질 저감계획과 위해도 기준초과 물질의 저감방안을 수립하고 배출물질 제한, 임계가중배출량 산정 관리, 최감방지시설 설치와 함께 공원녹지 조성계획을 내놨다.
경북도 역시 “북삼오평 산단은 대구·구미와 연계해 지역 경제를 견인할 핵심 프로젝트”라며 “환경 리스크 관리 없이는 사업도 성공할 수 없는 만큼, 환경청과 협력해 대응책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산단 조성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환경 리스크 관리가 미흡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환경업계는 “PM-2.5와 중금속성 발암물질은 장기간 노출 시 주민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경제성과 환경성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면 지역 반발로 사업 자체가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구미·대구권 산업단지는 그간 미세먼지·화학물질 배출 논란이 반복돼왔다. 이번 북삼오평 산단도 환경 보완책이 미비할 경우 ‘제2의 갈등 현장’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삼오평 산단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추진하는 대표적 산업입지 확충 프로젝트다. 산업 경쟁력 강화, 청년층 인구 유입, 고용 창출이라는 긍정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환경 리스크라는 중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
향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내륙화물기지 등과 연계돼 광역 경제벨트의 핵심 거점이 될 수 있을지, 아니면 환경 논란으로 좌초될지에 지역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