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대책 여파로 수도권 32.5p 하락, 분양물량도 25.8p 감소

▲ 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75.1p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21.9p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택산업연구원이 밝혔다. ⓒ주택산업연구원
8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75.1p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21.9p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택산업연구원이 밝혔다. 수도권은 32.5p 크게 하락한 81.4p를, 비수도권은 19.7p 하락한 73.7p를 각각 기록했다.

대구의 8월 아파트분양지수는 6월 89.5에서 7월에 94.7로 상승했다가 8월 81.8로 하락했다.

경북은 6월과 7월에 아파트분양지수 100.0으로 안정적인 수치를 보였으나 42.9p로 급락하여 57.1을 기록하면서 전국 최하위가 되었다.

수도권 내 모든 지역에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은 전월 121.2p에서 88.6p로 32.6p 하락했고, 경기도는 112.1p에서 78.8p로 33.3p, 인천은 108.3p에서 76.9p로 31.4p 각각 떨어졌다. 주택산업연구원은 "고강도 대출규제 등을 포함한 6·27 부동산대책의 영향과 추가 대출규제에 대한 경계 심리로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에서도 모든 지역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경북이 42.9p(100.0→57.1) 하락으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고, 전남 31.7p(91.7→60.0), 충북 30.0p(80.0→50.0), 경남 25.0p(100.0→75.0) 순으로 하락했다.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작은 부산도 2.5p(88.9→86.4) 감소했다.

분양가격과 분양물량 전망지수도 동반 하락했다. 8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5.9p 하락한 100.0을 기록했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25.8p 대폭 하락한 77.3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4.8p 상승한 97.0을 나타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대출규제로 인한 수요 위축과 더불어 신규 주택 건설물량 감소로 원자재와 인력 수요가 줄어들면서 원가가 하락하고 있다"고 분양가격 하락 배경을 설명했다.

분양물량 감소에 대해서는 "6·27 부동산대책 시행 이후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급감하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폭이 둔화됨에 따라 사업자들의 신규 공급 계획이 위축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과거 정권들에서 강력한 수요억제 정책들이 3~6개월 단기 하락 이후 다시 반등해왔던 전례를 살펴봤을 때, 단기적인 대출 규제뿐만 아닌 주택공급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한 "공급확대 효과가 지연될 경우, 규제에 따른 사업자들의 부정적인 전망으로 오히려 공급이 감소되어 앞으로 집값 상승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