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경북도·경주시와 MOU, 탈탄소 수소환원제철 본격화...포스코 “1538℃ 고온에 무탄소 전력 필수…SMR이 유일 해법”...경주 SMR 국가산단 포스코 참여 입주기업 투자에 촉매제...주낙영 시장 “입주기업 전폭적 행정지원”
경주 소형모듈원전(SMR) 국가산업단지가 포스코그룹의 참여로 탄력을 받게 됐다.
포스코홀딩스는 1일 경북도, 경주시와 함께 SMR 1호기 유치 및 SMR 국가산업단지 전력 활용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향후 원전 전력을 기반으로 한 수소환원제철 생태계 구축에 협력키로 했다.
포스코가 SMR과 연계한 수소환원제철 탄소중립 철강 공정 전환에 본격 나선 것이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에너지 공급 협력이 아니라, 포스코의 탈탄소 전략을 SMR 전력 기반으로 구체화한다는 점에서 산업계 패러다임 전환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포스코의 경주 SMR 국가산단 참여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포스코의 산업 전환은 탄소 감축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국가적 프로젝트”라며, “정부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민간 원전 전력 구매(PPA) 허용 등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주 SMR 국가산단은 2023년 국가산단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바 있으며, 경주시 문무대왕면 일원 113만5천㎡ 부지에 2028년 착공, 2032년 준공을 목표로 조성될 예정이다.
경주시는 자동차·철강 등 제조업체,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체, 한국원자력산업협회 및 한국방사능분석협회 회원사 등 총 670개 기업에 입주 투자 제안 서한을 발송하고 투자기업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포스코의 참여는 다른 기업체 참여에 촉매제가 되고 내는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 세계 7위 조강 생산능력을 보유한 포스코는 지난 수십 년간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최근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미국의 철강 관세 강화 ▲RE100 등 글로벌 공급망 기준 변화에 직면하면서, ‘지속가능한 철강’ 없이는 생존도 어렵다는 절박한 위기감에 빠졌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기존 석탄 기반 고로(BF) 제철에서 벗어나 친환경 수소환원제철(HyREX) 전환을 선언하고, 2030년까지 실증화, 2035년부터 양산을 목표로 한 탈탄소 로드맵을 수립했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에 붙은 산소를 떼기 위해 수소를 환원제로 활용하고, 전기로(EAF)를 통해 쇳물을 녹이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1538℃ 이상의 초고온 열에너지가 요구되는데, 기존 재생에너지는 공급 안정성과 출력 한계로 이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포스코 관계자는 “수소환원제철은 탄소중립 기술이지만, 에너지 측면에서 막대한 무탄소 전력이 필요하다”며 “결국 현실적인 대안은 안정적으로 24시간 공급 가능한 원전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SMR 실증 1호기의 경주 유치 ▲SMR 국가산업단지 전력 인프라 활용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연계 공급 체계 구축을 핵심으로 한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미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SMR 제작지원센터, 산단 조성 등을 통해 에너지-산업 연계 거점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는 ‘2050 탄소중립’ 목표 아래 중단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20% 감축, 2035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조기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HyREX 기술 개발 ▲수소 공급망 구축 ▲전기로 확대 및 재활용강 확대 ▲친환경소재(니켈, 리튬) 내재화 등의 전략을 단계별로 이행하고 있다.
2023년 기준 포스코의 국내 제철소는 연간 약 7900만 톤의 CO₂를 배출, 전체 산업계 탄소배출의 약 10%를 차지한다.
포스코홀딩스는 이 구조를 혁신하지 않으면 글로벌 수출 제한, 금융 제약, 이미지 손상까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SMR은 단순 전력 대체원이 아닌, 포스코 탈탄소 전략의 ‘에너지 심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 세계 철강 메이저 기업들이 모두 수소환원제철을 개발 중이나, SMR 연계형 모델은 한국이 선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한다.
특히 일본(JFE, Nippon Steel)과 유럽(ArcelorMittal, SSAB 등)은 정부의 전력 보조 및 인센티브 정책을 바탕으로 수소제철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어, 한국도 정부-지자체-기업 연계가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정책연구기관 관계자는 “이번 포스코·경북도 협약은 국내 제조업의 탄소중립 해법을 지역이 주도한 첫 사례”라며, “에너지 공급 정책과 전력시장 제도도 이 같은 산업전환에 발맞춰 과감히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SMR은 수소환원제철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 엔진’”이라며, “경주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철강 융합 생태계는 글로벌 ESG 경쟁력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 SMR 국가산단은 생산부터 실증, 운영까지 가능한 원전산업 생태계를 갖췄다”라며 “입주 기업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전폭적인 행정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