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의원은 당 비상대책위원회의 일방적 인선 강행을 ‘날치기’로 규정하며, 직접 당대표 경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는 당내 혁신 논의가 본격화되기도 전에 리더십 갈등이 표면화된 셈이다.
안 의원은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원회를 거부한다"며 "이제 메스가 아닌 직접 칼을 들겠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그는 "당을 살려보겠다는 절박함으로 혁신위원장직을 수락했지만, 문을 열기도 전에 거대한 벽을 마주했다"며 당 지도부와의 갈등을 폭로했다.
특히 안 의원은 "비대위와 수차례 협의했지만 최소한의 인적 쇄신에조차 합의하지 못했다"고 밝히며, “혁신은 인적 청산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국민과 당원의 요구를 외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주말 내내 비대위 측과 의견을 조율했으나, 결과적으로 “쇄신안을 받지 않겠다는 확답을 들었다”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이날 오전 최형두 의원,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송경택 서울시의원, 김효은 전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 등 5명을 혁신위원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안 의원은 사전 협의 없이 강행된 인선이라고 규정, 정면으로 반발한 것이다.
그는 "목숨이 위태로운 환자를 앞에 두고도 수술 동의서에 서명조차 하지 않는 이들을 지켜보며 참담함을 넘어 자괴감을 느꼈다"고 심경을 밝히며, "이제는 직접 행동하겠다"고 했다.
안 의원은 기자회견 말미에 "말뿐인 혁신, 쇼에 불과한 혁신, 들러리 혁신은 종지부를 찍겠다"며 "도려낼 것은 도려내고, 잘라낼 것은 과감히 잘라내는 당대표가 되겠다"고 당권 도전을 공식화했다. 이어 "우리 당이 잃어버린 진짜 보수 정당의 얼굴을 반드시 되찾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사퇴는 사실상 혁신위 구성을 둘러싼 ‘안철수 패싱’ 논란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며, 당내 차기 지도부 경쟁 구도에도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안 의원이 단순히 혁신 기획자가 아닌 당권 도전자로 나서면서 여권 내 권력 지형에도 파장이 예고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 혁신 논의가 시작되기도 전에 중심축이 붕괴됐다”며 “혁신위가 사실상 좌초된 상황에서 당 지도부의 책임론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