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업 자문 주장 "실체가 없고"...."그래핀 관련 발언·특혜성 발언 모두 사실과 달라”…포항시의회 신뢰 흔들
이상범 의원이 “그래핀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며 반대근거로 제시한 블루밸리국가산단에 있다는 그래핀 관련 기업은 리튬이차전지 음극재소재 기업이다.
또 사실과 다른 발언을 본회의장에서 반대의견으로 쏟아내 의회 신뢰성을 실추시켰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30일 포항시의회 제324회 1차 정례회 3차 본회의에서 경제산업위 소속 김상일 의원과 이상범 의원이 대표로 그래핀 육성지원 조례안 제정에 대한 반대토론에 나섰다.
경제산업위 소속인 이들 의원들은 상임위 심사 때의 의견을 뒤집고 이날 반대토론에 나섰다.
김상일 의원은 “탄소소재 전반에 대한 균형있는 시각, 조례제정의 시급성과 필요성 등으로 더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며 신중론을 피력했다.
반면 이상범 의원은 보다 공격적인 논리를 내세웠다. 이 의원은 “그래핀 소재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해 자문을 받아 조례 제정이 부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블루밸리 국가산단 뉴테크 K 회장의 자문 결과를 반대 논리로 제시했다.
이 의원은 “그래핀은 20년전부터 생산돼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고 조례안은 포항소재 3개 그래핀기업에 특혜성으로 타 탄소소재 기업의 입지를 좁힌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의원의 주장은 사실과 맞지 않는 발언이었다. 포항시에 따르면 블루밸리산단 내에는 ‘뉴테크’라는 이름의 입주기업이 등록돼 있지 않고 뉴테크엘아이비와 뉴테크에너지가 입주해 있었다.
이 의원이 자문을 받았다는 K 회장의 뉴테크엘아이비는 리튬이차전지 음극물질 재료 생산기업으로 2020년 리튬이차전지 음극물질 재료 시제품을 생산 시작했다.
Si, SiOx, Si-C 와 같은 Silicon 기반의 제품을 생산 및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다.
따라서 탄소와 그래핀과 차이를 공식적인 문서로 받았다는 주장은 리튬이차전지 기업의 입장이고 그래핀 관련 기업은 아니었다.
그리고 자문받았다는 내용을 상임위에서도 본회의장에서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아 그 실체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앞선다.
이와 함께 그래핀의 상용화 역사에 대한 언급도 왜곡됐다는 지적이다. 그래핀은 2004년 영국 맨체스터대 연구진이 처음 분리에 성공한 신소재로,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의 근거가 됐다.
이후 상용화 연구는 2013년부터 본격화됐으며, 현재도 기술적·경제적 한계로 인해 초기 상용화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 의원의 20여년 전부터 생산돼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과 맞지 않다.
이 의원이 특정 기업을 겨냥해 특혜 논란을 제기한 ‘그래핀스퀘어’ 역시 허위의 희생양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래핀스퀘어는 국내 대표 그래핀 전문 스타트업으로, CVD(화학기상증착법) 기반의 고품질 그래핀 대량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 회사의 기술력을 인정해 약 1130만 달러(한화 약 150억원)를 투자했으며, 현대차, LG화학, 한화시스템 등과도 협력 중이다.
보유 특허는 75건에 달하고, CES 수상 경력도 있는 기업이다.
결국 이 의원은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실체조차 불확실한 자문과 부정확한 산업 이해를 토대로 정책을 흔들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상범 의원은 그래핀스퀘어에 대한 특혜성을 앞세워 그래핀산업을 비하한 셈이다. 의원의 소신에 근거한 반대를 했다기보다는 정치적 감정에 휩싸여 반대만을 위한 반대를 했다는 지적에 무게가 실린다.
또 백강훈 의원의 “기존 포항시가 최초로 제정한 이차전지산업지원육성 조례 또한 배터리산업으로 넣어야지, 이것은 왜 따로 지정을 했냐”는 지적을 피해 나가지 못했다.
백 의원은 탄소에서 시작되지만 흑연,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그래핀 등이 각각 결을 달리하는 산업이기에 특화의 필요성을 인정하자는 것이었다.
내용을 알 수 없는 자문결과와 근거 없는 특정기업의 특혜 주장으로 포항시 그래핀 육성지원 조례 제정을 막은 것은 향후 포항시에 그래핀 관련 기업들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발언이었다.
지역 경제계 및 탄소산업 전문가들은 “이처럼 비과학적·비논리적인 반대로 인해 향후 그래핀 관련 첨단기업의 포항 진입이 저해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산업 발전을 이끌 제도적 기반을 정치적 감정과 오해로 좌초시킨다면, 지역 산업생태계 전체가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지는 이에 대한 이상범 의원의 해명을 듣기 위해 전화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