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1개 지자체 참여, 공공건축 우수사례 현장답사 진행
이번 간담회에는 경주, 광명, 부천, 양주, 영주, 천안, 청주, 하동 등 8개 기초지자체와 경북, 대전, 부산 등 3개 광역지자체가 참여해 총괄계획가 운영과 도시건축디자인 계획 수립 현황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총괄계획가 제도는 공공건축의 디자인 품질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으며, 지자체장의 위촉을 받은 민간 전문가가 주요 도시건축 공간 디자인 정책과 통합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간담회는 영주시 총괄계획가의 해설과 함께 대한민국 공공건축상과 건축문화대상 등을 수상한 노인복지관과 장애인복지관을 답사하는 일정도 포함한다.
노인복지관은 2017년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최우수상 및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마당과 옥상 바닥분수 등 개방공간에서 전 연령층의 지역주민이 어울리는 사랑방 역할을 하고 있다. 장애인복지관은 2018년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복지관 옥상을 공원 일부로 활용하고 모든 방에서 자연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도록 공공건축과 공원을 입체화했다.
영주시는 2009년 전국 최초로 총괄계획가제도를 도입한 지자체로,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건축문화대상, 도시설계대상, 아시아도시경관상을 수상하는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공공건축과 공간활용 우수사례로 손꼽힌다.
영주시는 지역 가치 향상을 위해 삼각지 녹색거리, 역사문화거리, 시청 앞 등 거리와 전통시장 거점 등 권역별 공공건축계획을 수립한 후 개별 공공건축을 기획해 도시건축과 공간의 품격을 높여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인구 10만 도시인 영주의 공공건축 품질 향상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영주형 10분 동네' 등 도시건축디자인(옛 공간환경) 전략계획 수립 사업 추진 상황도 공유했다.
건축공간연구원은 2007년 ‘공공건축의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안’과 2008년 ‘장소의 가치향상을 위한 공공건축 통합화방안 연구’에서 영주시를 시범 대상지로 선정해 제도의 기틀을 마련해 왔다. 또한 연구원은 10월말경 영주시를 비롯하여 그간 추진된 지역활성화 정책 성과를 집대성해 ‘지역활성화 정책의 공간환경 질 향상을 위한 디자인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성과를 발표할 했다.
국토부 문석준 건축정책관 직무대리는 "총괄계획가가 도시 전반의 큰 그림을 그리고, 권역별로 공공건축계획을 수립하면서 공공건축의 품질이 향상됐다"면서, "제도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기초와 광역지자체, 인구 규모, 운영 기간 등에 따른 유형별 모범사례를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영주시 박정락 도시건설국장은 "공공건축과 도시공간이 모두의 자산이 될 수 있도록 민관이 힘을 모아온 영주시 16년간의 발걸음은 전국 각지 도시건축디자인에 중요한 나침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김수정 기자
88-622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