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후보자 인준을 둘러싼 정치권의 대치가 격화되면서 이재명 정부의 국정 드라이브에도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전현희 민주당 최고위원은 23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은 경제 회복과 정치 복원을 체감하고 있지만, 국민의힘은 오직 김 후보자 흔들기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인사청문회는 단순 검증을 넘어 국민의힘이 협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인준 협조를 압박했다.
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주로 재산 형성과 과거 정치 행적에 집중돼 있으며, 국민의힘 소속 서울시의원이 고발한 사안이 하루 만에 서울중앙지검에 배당되면서 야당의 반발을 더욱 키웠다.
이에 대해 한준호 최고위원은 “검찰과 국민의힘 간 사전 기획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든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민주당 원내대변인 김현정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청문회가 본연의 역할보다는 정쟁으로 변질돼 아쉽다”며, 검증을 빌미로 한 정치공세를 지적했다.
전용기 의원은 청문회를 ‘인디언 기우제식’ 공세라며 “처음부터 낙인을 찍고 몰아가는 청문회는 생산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날 민주당 지도부뿐 아니라 당권 주자들도 가세했다. 정청래 의원은 “김민석을 지키는 것이 이재명 대통령을 지키는 길”이라며, 인사공세를 정권 흔들기로 규정했다.
박찬대 의원 역시 “국민의힘의 비난은 최소한의 금도마저 지키지 않은 것”이라며 “정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인사 중 당정 경험이 풍부한 전략통으로, 의료·복지 정책뿐 아니라 청년·균형발전 분야에서도 입지를 다져왔다.
민주당은 김 후보자를 중심으로 개혁 드라이브와 국정 정상화 속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의혹 해소 없이 총리 인준을 저지할 경우, 정국은 다시 교착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경제정책과 복지예산 조정에 필수적인 총리 공백이 길어질 경우, 물가안정·노동협치 등 정부의 핵심 과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편, 청문회를 앞두고 여야는 김 후보자에 대한 재산 형성 과정, 정책 전문성, 국정운영 철학 등을 놓고 날선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인준 여부는 이르면 이번 주말 또는 내주 초 결정될 전망이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