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이번 회담이 성사되지 못한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히면서도, 빠른 시일 내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6일(현지시간) 캐나다 현지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갑자기 귀국하게 되면서 내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개최가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이번 조기 귀국 배경에 대해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군사적 충돌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미국 측은 정상회담 무산과 관련해 우리 측에 사전 양해를 구했으며, 이 대통령 역시 현지 리셉션 참석 시점에 해당 보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결례가 되는 상황은 아니었으며, 미국의 결정이 급박하게 이뤄졌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열리고 있는 G7 정상회의를 조기 중단하고 귀국길에 올랐으며, 이에 따라 호주와의 양자 회담 등 다른 일정도 전면 취소된 상태다. 이 대통령은 호주 정상과 이에 대해 간단한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한미 정상회담은 무산됐지만, 대통령실은 향후 조속한 재추진 방침을 밝혔다.
오는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나토(NATO) 정상회의를 한미 정상 간 회담의 새 계기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관련 보고를 받은 후 “그렇게 추진하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담이 취소되며 일부 주요 현안 논의가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관심이 모였던 관세 협상 관련 질문에 대해 대통령실은 “실무 협의가 본부장급에서도 교감하며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정상 간 회동이 성사되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대통령실은 한미 회담이 무산된 시간에 다른 국가와의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 날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은 정상 개최된다는 입장도 함께 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의 외교 기조는 탄탄한 한미동맹, 발전적인 한일협력, 한미일 안보협력을 기본 축으로 한다”며 “한일 간에는 과거사 등 민감한 현안이 있지만, 미래지향적 협력을 위한 건설적인 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으로 아쉬움을 남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국제 정세의 급변 상황 속 외교 일정의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사례가 됐다.
그러나 양국 간 실무 협력과 외교 채널이 지속 가동 중인 만큼, 조속한 시일 내 정상 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는 평가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