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보급률 전국 평균 밑돌아… 공급률 78.7% 그친 포항… 민간 독점·행정 부실이 시민 피해로 이어져

▲ 조민성 의원. ⓒ포항시의회

도시가스 공급이 시민 생활의 핵심 복지 인프라로 자리 잡은 가운데, 포항시가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 낮은 보급률을 기록하며 일부 지역 주민들이 도시가스 공급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민성 포항시의회 의원(국민의힘, 해도동·송도동·청림동·제철동)은 10일 제324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도시가스 공급 확대와 불법·무책임한 배관 시공 실태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조 의원은 “포항시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2023년 기준 78.7%로, 전국 평균 85.7%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도시가스는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에너지 복지 차원의 필수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LPG에 비해 도시가스는 평균 1.8배가량 저렴해, 에너지 비용 절감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보급 확대가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현재 포항시는 영남에너지서비스가 도시가스를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보급률 99%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하지만 조 의원은 “해도동, 연일읍, 흥해읍 등 일부 지역은 여전히 공급망에서 배제되어 있고, 공급 불가능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배관 설치가 진행된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일부 시공업체들이 도시가스 공급 가능 여부를 명확히 확인하지 않은 채 공사를 유도했고, 결과적으로 주민들이 수백만 원의 개인 부담금을 지불한 후에도 도시가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태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조 의원은 “해도동 수십 세대는 도시가스를 쓰지 못하고 배관만 방치된 채 생활하고 있으며, 시공업체와 공급업체, 행정 모두 책임 회피에 급급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사태는 과거 서산시 등에서도 유사하게 발생했으며, 도시가스 공급에 대한 사전 정보 부족과 공급업체의 독점적 지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행정 신뢰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조 의원은 포항시에 해도동 등 미공급 지역의 실태를 정밀 조사하고 시공 과정의 책임소재를 규명과 영남에너지서비스 및 하도급 업체가 공급 가능 여부를 공개하고, 피해 주민에 대한 보상 방안 마련, 향후 유사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도시가스 관련 사전 정보 제공과 절차 정비를 제도화를 촉구했다.

조 의원은 “행정의 무관심과 기업의 무책임 속에서 시민이 피해를 입는 일이 반복되어선 안 된다”며 “포항시가 도시가스 공급 정책의 감시자이자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시가 이번 발언을 계기로 도시가스 공급 체계 전반을 재점검하고, 시민 신뢰 회복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