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당 개혁안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김 위원장이 6·10 항쟁 기념식 참석 후 밝힌 입장에 따르면, 그는 “이번 개혁안은 과거 잘못에 대한 반성과 미래 신뢰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재차 강조하며 비판을 정면 반박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자신의 개혁안을 두고 “개인 정치, 임기 연장용”이라는 당내 일부의 평가에 대해 “그런 식의 해석은 개혁 의지 자체가 없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어 “개혁안 발표 이후, ‘배후가 누구냐’, ‘이준석과 연계된 것 아니냐’는 식의 음모론성 질문까지 받고 있다”며 “이런 반응은 국민 앞에 부끄럽다”고 토로했다.

김 위원장이 8일 발표한 개혁안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의 무효화 △김문수 대선후보 교체 시도에 대한 당무감사 △상향식 공천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안건들이 과거 당 주류, 특히 친윤계의 입장과 충돌하는 만큼, 개혁안은 단순 쇄신을 넘어 ‘계파 정치의 불씨’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는 친윤 진영의 강력한 반발을 부르고 있다. 김대식 의원은 “전례 없는 일이며 당내 다수가 반대한다”며 “역사로 남겨야 할 사안을 지금 뒤집는다고 면책될 수는 없다”고 일축했다.

당무감사 추진에 대해서도 의원총회에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 반응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중시하는 정당이라면, 헌재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나온 이상 과거 당론은 정리돼야 한다”고 맞섰다.

당 핵심 관계자는 “개혁 필요성엔 다들 공감하지만, 김 위원장이 그 적임자인지는 회의적”이라며 “개혁을 막는 것이 아니라, 방식과 시점, 주체에 대한 문제 제기”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반해 친한동훈계는 김 위원장에게 힘을 실으며, 일부에서는 임기 연장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송석준 의원은 “후보 교체 시도 등 내부 혼란이 대선 패배의 직접적 원인 중 하나였다”며 “당의 과오를 짚고 가는 과정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소희 의원은 “김 위원장이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계속 내고 있다”며 “계속 개혁을 이어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정성국 의원도 “이 사안은 계파 문제가 아니다. 잘못한 계파가 있으면 바로잡자는 것”이라며 개혁안에 힘을 실었다.

당내 분위기는 혼전 양상이다.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 시기를 앞당기는 데는 대체로 의견이 모였지만,

이를 누가 주도할지에 대한 결론은 유보됐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김 위원장이 6월 말까지 임기를 채우는 데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그 외 개혁안과 관련된 내용은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11일 추가 의원총회를 열어 개혁 방향을 다시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핵심 쟁점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오는 16일 신임 원내대표가 선출된 이후 논의가 재정비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