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차기 원내대표 자리를 둘러싼 김병기(3선) 의원과 서영교(4선) 의원 간 양강 구도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번 경선의 가장 큰 특징은 당규 개정으로 권리당원 투표가 20% 반영된다는 점. 당심의 향배가 당락을 가를 핵심 변수로 떠오르면서, 두 후보 모두 권리당원 표심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재적 의원 168명의 투표가 80%, 권리당원 투표가 20% 반영되는 이번 방식은 권리당원 표가 국회의원 34명분과 같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기존 원내대표 경선이 의원 접촉 중심의 '지상전'이었다면, 이번에는 SNS·라디오 등 매체를 활용한 '공중전'이 주 무대로 부상하고 있다.

김병기 의원은 9일 페이스북에 올린 메시지를 통해 “대선 승리와 민주공화국을 지켜낸 힘은 오로지 당원 동지들의 헌신이었다”며, “내란 종식의 ‘최종 병기’로 누가 적합한지 선택해 달라”고 호소했다.

친문 성향과 친명계의 가교 역할을 자처해온 김 의원은 중도층과 조직표 동시 공략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서영교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본인의 입법 성과를 부각했다.

“법사위 활동 당시 내란 특검을 비롯한 세 가지 특검 입법을 추진했고, 행안위원장으로 전국민 재난지원금·지역화폐 예산 등을 이끌었다”며 “성과 중심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비주류 출신으로서 ‘강단 있는 실천가’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강성 당심에 호소하고 있다.

당 지도부와 최대 계파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권리당원의 참여 독려에 나섰다.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이라며, “많은 권리당원들이 주권을 행사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성명을 통해 “말이 아닌 제도로 당원 주권을 실현할 원내대표가 필요하다”며, “신임 원내대표는 주요 정책 결정을 당원과 함께하는 것을 당연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당원 참여형 정당' 정체성의 실현이 주요 과제로 부상한 셈이다.

이번 경선은 단순한 원내대표 선출을 넘어, 당의 리더십, 당원 중심 정당으로서의 정체성, 주류-비주류 간 균형 문제까지 맞물린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특히 7월 원 구성 협상과 내년 총선 전략 구상의 방향타를 쥐게 되는 만큼, 향후 당내 권력 구도 재편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