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25.63%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사전투표율...경북은 31.52%로 20대 대선(41.02%)보다 9.5%포인트 낮아

▲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입니다. ⓒ영남경제 자료
▲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입니다. ⓒ영남경제 자료

이번 조기 대선의 사전투표는 유권자 4439만1871명 중 1542만3607명이 참여했다.

지난 5월 3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21대 대선의 사전투표율이 34.74%로 최종 집계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전투표율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지만, 지난 20대 대선에서 기록된 36.93%에는 미치지 못했고 지난 22대 총선의 사전투표율(31.28%)보다는 높았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예년과 비교해 눈에 띄게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특히 대구는 25.63%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사전투표율을 기록, 전국 평균인 34.74%를 9%포인트 이상 하회했다.

대구시선관위에에 따르면 대구 전체 선거인 수 204만9078명 중 52만5257명이 사전투표를 마쳤다.

구·군별 사전투표율은 중구 27.98%, 동구 26.32%, 서구 25.79%, 남구 25.73%, 북구 25.13%, 수성구 27.42%, 달서구 24.39%, 달성군 22.61%, 군위군 40.89% 등이다.

대구 외에도 영남 지역의 사전투표율은 대체로 낮았다.

경북은 31.52%로 20대 대선(41.02%)보다 9.5%포인트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부산(30.37%), 경남(31.71%), 울산(32.01%) 등도 전국 평균보다 저조한 참여율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전남은 56.50%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보였다.

대구와 경북을 비롯한 영남 지역에서 사전투표율이 낮은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일부 보수 지지층 사이에서 '부정선거'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강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투표 참여 저조 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경북 지역의 경우, 구·시별 사전투표율 차이가 크다는 점도 눈에 띈다.

포항시 북구(26.73%), 구미시(27.52%)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투표율을 기록한 반면, 문경시(38.93%), 상주시(38.24%)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특히 군 지역인 울릉군(42.27%)과 성주군(43.06%)은 타 지역에 비해 눈에 띄게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다.

한편, 이번 사전투표율은 총선과 대선 투표율을 비교할 때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것이며, 향후 선거 분석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대선 당일 투표율과 사전투표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특정 지역이나 유권자 집단에 대한 맞춤형 선거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