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중심 수직적 관계 탈피...건강한 당정 관계로 전환 강조...계파 불용의 3대 원칙 등 천명...유권자 사전투표 참여도 독려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5일 충남 보령시 대천역 광장에서 집중 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대통령의 당무 개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25일 충북 옥천군 육영수 여사 생가를 방문한 뒤 현안 입장 발표를 통해 "대통령 중심의 수직적 당정 관계가 아닌, 상호 존중과 협력의 건강한 당정 관계로 전환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대통령의 당무 개입 논란은 많은 갈등을 낳았다"며 "대통령의 공천 개입은 당의 자율성과 민주성을 훼손하고 대통령 중심의 사당화를 부추기며 당내 갈등의 불씨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 기간의 수직적 당정관계 문제를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김 후보는 "대통령이 당을 장악하겠다고 마음먹는 순간 민주주의는 흔들리기 시작한다"며 "이제 잘못된 관행을 끊어내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김 후보는 "당정 협력, 당-대통령 분리, 계파 불용의 3대 원칙을 천명하고, 이런 정신을 당헌에 명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당내 선거 및 공천, 인사 등 주요 당무에 대해 대통령의 개입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김 후보는 "즉각적 당헌 개정을 위해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전국위원회 소집을 요청해뒀다"고 전했다.

그는 "앞으로 모든 당무는 당헌·당규에 따라 독립적, 자율적으로 작동된다"며 "당 운영이 대통령과 측근의 영향력에 의해 좌우된다는 비판도 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후보는 사전투표(29∼30일)를 나흘 앞두고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그는 "만약 사전투표를 머뭇거리다 본투표를 못 하게 되면 큰 손실"이라며 "투표하지 않으면 나쁜 정권을 만들지 않겠나"라고 우려를 표했다.

사전투표 관리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인정하면서도 김 후보는 "당이 역량을 총동원해 사전투표 감시·감독을 철저히 하겠다"며 "그러니 걱정하지 말고 사전투표에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자신도 사전투표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 관계자들은 김 후보의 사전투표 독려가 사전투표 부실 관리 문제를 지적하며 투표를 꺼리는 보수 지지층을 안심시키고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보고 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는 상황에서 지지층 결집을 통한 투표율 제고가 중요해진 시점이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