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효과·철강 관세 여파 분석…고부가 제품 중심 전략 필요
이는 지난해 수출 실적이 이례적으로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되며, 미국 트럼프 2기 정부가 3월부터 본격 시행한 25% 철강 관세의 영향은 5월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연구원이 21일 발표한 '미국의 보편관세 공표 후 철강 수출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3억8,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 줄었다.
같은 기간 미국을 제외한 전체 철강 수출이 2.6% 감소한 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대미 수출 감소 폭은 상대적으로 컸다.
이 같은 둔화세는 미국의 철강 관세 강화와 맞물려 주목을 받았지만, 산업연구원은 아직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대미 수출이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올해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했다”며 “관세의 실질적인 영향은 시차를 두고 5∼6월부터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4월 대미 철강 수출액은 오히려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3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물량 역시 11.7% 늘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이미 계약이 체결된 물량 위주로 출하가 이뤄졌고, 최근 미국 내 철강 가격 상승이 수출 확대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관세의 여파가 점차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이 한국 철강에 대해 고부가 제품 중심의 수입 구조로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수출 품목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1∼4월 기간 중 열연강판과 중후판 등 범용재 수출은 각각 36.3%, 18% 감소한 반면, 고부가 제품인 강관은 10.3%, 석도강판은 무려 29.2% 증가했다. 미국 내 이들 제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점이 수출 증가의 배경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향후 트럼프 2기 철강 관세의 실질적 영향은 품목별로 차별화돼 나타날 것”이라며 “우리 철강 업계는 가격 경쟁력에만 의존하기보다,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포트폴리오 재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계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다변화와 기술 고도화를 병행하는 전략이 요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미국 이외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와 함께, 고부가 제품 개발을 통한 관세 회피 및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 또한 국내 철강 산업이 수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출금융, 기술 개발, 시장 개척 지원 등의 정책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