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5곳, 의료·문화·관광 특화 사업으로 지방소멸 위기 대응

▲ '2025년 민관상생 투자협약 사업'에 5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 ⓒ국토교통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한 '2025년 민관상생 투자협약 사업'에 5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민간의 창의성과 전문성을 활용해 지역 맞춤형 발전을 도모하는 협력형 모델로, 지난해 처음 도입된 이후 두 번째로 시행됐다.

국토부는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85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해 총 21개 지자체가 신청한 가운데, 광역자치단체 평가와 현장확인, 최종평가를 거쳐 부산 서구, 충남 논산, 전북 임실, 전남 완도, 경북 영덕 등 5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경북 영덕군은 파나크 주식회사, 소노인터내셔널과 함께 삼사해상공원 내 '공유 콘퍼런스 센터'를 구축한다. 지역 관광시설과 연계해 콘퍼런스와 컨벤션 기능을 부가하고, 기업·지역인재를 위한 원격 휴가근무(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광자원의 매력과 활용도를 높일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160억원이다.

부산 서구는 지역 내 위치한 대학병원 3곳의 인프라를 활용해 의료·헬스케어 산업생태계를 구축한다. 부산대병원 의생명연구원 등과 협력해 의료분야 창업기업에 입주공간을 제공하고 특화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의료헬스케어 스타트업 인큐베이터'를 조성할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91억원이다.

충남 논산시는 김인중 화백의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활용한 아트플랫폼을 조성한다. (주)빛섬, 이비가그룹, 건양대학교 등과 협력해 일제강점기 미곡창고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카페와 식음료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거점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156.5억원이다.

전북 임실군은 치즈테마파크와 연계한 체험형 놀이공간 조성에 나선다. (주)드림랜드, (주)드림레저와 협력해 '플레이빌'과 트리하우스·글램핑장 등으로 구성된 '플레이힐'을 조성하여 다양한 놀이 및 체류환경을 제공하는 지역상생형 플랫폼을 구축한다. 총사업비는 135억원이다.

전남 완도군은 대우재단(아트선재센터)과 협력해 '완도 치유의 예술섬'을 조성한다. 현대미술계에서 영향력 있는 김선정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완도 섬 미술관'을 건립하고, 예술가옥(레지던시) 운영과 예술제 등 각종 프로그램을 완도의 마음치유사업과 연계해 확장 운영할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130억원이다.

선정된 사업에는 기반시설 조성에 국비 최대 50억원을 지원하며,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관련 정부 지원사업과 유기적으로 연계할 계획이다. 올해 10월까지 지방시대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토부와 지자체 간 협약을 체결하고, 4년간 예산을 투입해 2028년까지 시설조성을 완료할 예정이다.

김지연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은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다양성을 갖춘 민간과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라고 강조하며, "창의력과 전문성을 가진 대학·기업·공익재단 등이 지역상생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