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업계 반발에 부품 관세 환급 조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강력하게 추진해온 자동차 및 부품 관세 정책에서 일부 후퇴 움직임을 보이면서, 현대차그룹과 국내 부품업체들에게 숨통이 트일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산 완성차에 대한 중복 관세 폐지와 자동차 부품 관세 환급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완성차에 부과한 25% 관세 외에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품목에 대한 관세가 중복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할 계획이다.
또한 다음 달 3일부터 시행 예정이던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도 조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제조 자동차 1대 가격의 3.75%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부품 관세 환급이 가능해지고, 2년 차에는 2.75%로 축소된 뒤 점진적으로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완화 조치는 미국 자동차 업계와 노동계의 강력한 반발을 의식한 결과로 분석된다.
미국 자동차 업계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지난 22일 미 재무부와 무역대표부에 서한을 보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로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이 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관세 철폐를 촉구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자국 내 자동차 제조업 리쇼어링을 목표로 하지만 복잡한 공급망과 누적 관세 구조는 오히려 그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는 이번 관세 완화 조치로 상당한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미국의 대한국 자동차 부품 수입액은 135억 달러로, 대세계 자동차부품 수입의 6.4%를 차지한다. 특히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82억2천2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동차부품의 경우 중국 수입품에 60%가 넘는 균일관세 부과 시 미국의 수입선이 우리 부품으로 대체되면서 일부 반사이익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미국에 반조립제품(CKD) 형태로 수출할 수 있는 활로가 좀 더 생긴 것”이라며 “현지 생산을 최소화해 미국의 높은 인건비에서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돌파구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산업을 중요시함에도 불구하고, 현지 기업과 노동계의 강한 반발에 직면해 결국 외국산 자동차에 부과된 25%의 관세를 철회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보여준 변화를 고려할 때 현지 기업들의 불만과 항의를 고려해 너무 튀는 관세 조치는 완화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며 “관세가 실물경제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오래 가기 전에 협상을 통해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