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경선 당원투표 50% 반영, 지지층 결집 양상 주목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이 '탄핵소추 반대파'(김문수·홍준표)와 '탄핵소추 찬성파'(안철수·한동훈)의 2대 2 대결 구도로 형성되면서 각 진영의 지지층 결집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1차 경선은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만을 대상으로 한 100% 국민 여론조사로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안철수 후보가 '반탄파'로 분류되던 나경원 의원을 제치고 4강에 진입한 것은 계엄·탄핵과 당내 '윤심(尹心)' 논란에 비판적인 중도층 여론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보수 지지층이 대선 본선의 중도 확장성을 고려해 '전략적 선택'을 했다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2차 경선을 앞두고 '찬탄파' 주자들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안철수·한동훈 후보 간 표가 분산되어 오히려 결선 진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상반된 분석이 공존하고 있다.

2차 경선부터는 당원투표 50%,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된다는 점이 최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및 '관계 단절'에 부정적인 강성 당심의 비중이 높아지는 구도다.

이러한 룰은 애초 '찬탄파' 후보에게 불리한 방식으로 평가됐으나, 지지층의 '전략적 투표' 등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차 경선에서 여론조사상 3강 구도를 형성했던 김문수·한동훈·홍준표 후보는 과반 득표를 통해 결선투표 없이 본선에 직행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4강 진입에 성공한 안철수 후보는 기세를 몰아 2강 안에 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캠프는 2차 경선 전망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김문수 후보 캠프의 김재원 미디어총괄본부장은 23일 SBS 라디오에서 "본선은 5대 5의 구도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우리 당 지지자의 약 80%가 이미 탄핵을 반대했고, 또 우리 당 지지자 중에서 탄핵에 찬성하는 분들이라 하더라도 이재명을 막기 위해서는 결국 김문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후보 캠프의 유상범 총괄상황본부장도 MBC 라디오에서 "홍 후보는 대구시장 (사퇴) 이후부터 언론 흐름에서 '반명 대표주자'로서 모습을 계속 보여줬다. 50% 이상 얻어서 결선까지 안 갈 수도 있다"고 자신감을 표명했다.

반면 한동훈 후보 캠프의 신지호 특보단장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1차 경선 결과에 '노(NO) 극우, 굿바이 윤(尹)'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갈수록 '찬탄'의 파이는 커지고, '반탄'의 파이는 줄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동훈 후보 역시 KBS 라디오에 출연해 "반드시 과반을 득표하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저작권자 © 영남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