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드론산업 육성 본격화…26개 지자체와 7개 기업 선정…“드론 실증·활성화 지속 지원”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2025년까지 드론실증도시 구축 및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을 통해 국산 드론산업 육성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들은 최근 공모를 통해 총 26개 지자체와 7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드론실증도시 구축 사업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을 발굴해 공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난 해에는 14개 지자체에서 실시한 K-드론배송 사업이 총 10,635km를 비행하며 안정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올해는 혈액과 폐의약품 등 배송 영역을 확장하여 다양한 품목으로 공공 배송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경북에서는 영주시가 산간지역 등 관내 도서관·행정서비스 접근성 개선을 위해 도서대여·반납을 드론으로 배송하고 민원서류 또한 배송하는 서비스를 추진중이며 의성군에서는 안티드론 성능평가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불법 드론을 탐지 할 수 있는 기술력을 연구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주시는 생활밀착형으로 음식배송 서비스를 실증 중에 있다.
또한, 드론레저스포츠 분야에서는 부산광역시와 경기 포천시 등에서 국제 수준의 행사를 개최하고, 첨단 드론행정서비스 분야에서는 인천광역시와 경북 의성군 등이 혁신 기술을 융합한 안전 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은 2018년부터 국내 부품의 국산화를 통해 해외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볼로랜드 컨소 등의 기업들이 핵심 부품의 생산과 조립을 주도하며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김영국 항공정책관은 "국내 드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으로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촉진하고 실증도시 사업을 통해 개발 중인 드론의 실증과 활성화를 지속해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