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포항 어촌 경제플랫폼 조성...석병리항, 어춘 생활플랫폼 조성...장호항, 해양 레저형 거점으로…수산물 복합센터·휴양콘도 유치...사업 대상지, 매년 줄어 목표의 절반 미달…“기존 사업비 급증”
경주 감포항, 포항 석병리항 등 전국 25개 어촌이 신활력증진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들 25개 어촌은 모두 1조 1700억원을 지원 받는다. 이 사업으로 대상 어촌은 활력 넘치는 경제, 생활 거점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어촌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경제플랫폼 △생활플랫폼 조성 △안전인프라 개선 등 3개 유형으로 진행된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도 어촌신활력증진 사업 대상지 25곳을 선정해 26일 발표했다.
어촌신활력증진 사업은 2023년부터 5년간 300개소에 3조원을 투자해 어촌이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바뀔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연안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공모에서 11개 시도, 41개 시·군·구에서 후보지 98개소가 신청했다”며 “해수부는 석 달간 평가를 거쳐 25개소를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어촌 경제플랫폼 조성
경주 감포항을 비롯해 강원도 삼척시 장호항, 경남 사천시 삼천포항 등 6개소가 선정됐다. 이들 지역에는 5년간 최대 1800억원의 재정과 약 8700억원의 민간 자본을 투입해 수산업 복합단지와 관광 기초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장호항은 ‘수산물 복합센터’가 들어서고 민간투자로 휴양콘도미니엄을 유치해 해양 레저형 경제 거점으로 조성된다.
민간기업은 이 휴양콘도미니엄 조성에 19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장호항은 해당 사업으로 일자리 500개를 창출하고 생활인구를 14만명까지 늘릴 것이라고 해수부는 기대한다.
◇어촌 생활플랫폼 조성
포항 석병리항 강원도 고성군 봉포항 전남 완도군 동고생활권 등 5개소가 선정됐다. 해수부는 이들 지역에 4년간 최대 5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해 어촌 주민의 생활 서비스를 개선할 계획이다.
완도군 동고생활권은 지역에 상근하며 인구 유입을 위한 사업을 기획하는 민간 주체인 앵커조직이 상주하면서 지역에 필요한 생활 서비스 개선 프로그램을 발굴할 예정이다.
또 폐교 부지와 시설을 활용한 거점 시설을 만들고 파손된 어항 진입도로를 보수하는 등 어항 시설을 정비해 어민의 편하고 안전한 어업활동에 기여할 계획이다.
어촌 안전인프라 개선 사업 대상지로는 인천 옹진군 지도항, 경기 화성시 송교항, 제주 서귀포시 토산항 등 14개소가 선정돼 3년간 최대 700억원의 재정이 지원된다.
이 가운데 토산항에는 월파(越波·파도가 쳐 올라 방파제를 넘는 현상) 방지 시설을 보강하고 해녀의 조업 전후 쉼터를 조성한다. 지도항 등에는 낙후된 선착장을 보강해 여객선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다만 어촌신활력증진 사업은 매년 어촌 60곳씩 5년간 300곳에서 추진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올해 선정된 곳은 절반에도 못 미쳤다.
사업 대상지는 2023년 65곳, 지난해 33곳, 올해 25곳 등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기존에 선정된 사업지들의 사업비가 급증해 신규 사업지 선정 속도를 조절했다”며 “정부는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어촌소멸 위기 대응에 필요한 예산을 지속해서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