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집권 가능성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 중국 경쟁력 강화 등 요인
이차전지, 건설, 석유화학, 유통 등 핵심 산업에 대해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반면 조선과 방위 산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한신평은 8일 개최한 웹세미나 '경기 둔화와 트럼프 2.0의 파고 속 2025 산업별 전망 분석-기업 부문'에서 이 같은 전망을 밝혔다.
한신평은 이차전지 산업에 대해 '비우호적' 산업 전망과 '부정적' 신용 전망을 제시했다. 주요 요인으로는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전환 및 투자 계획 이연·축소,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가능성 등을 꼽았다.
한신평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친환경 정책 후퇴로 북미 시장에서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거나 AMPC(첨단 제조 생산 세액 공제) 등 정부 인센티브가 약화할 경우 국내 이차전지 업체의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도 우려 요인으로 지목됐다.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점유율은 2023년 말 32.4%에서 2024년 9월 말 34.4%로 증가했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침투율 상승과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해외 생산 능력 확대 등을 고려하면, 중단기적으로 중국 업체들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 산업에 대해서는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기조 하에서 전반적인 분양 경기 회복에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착공 물량 감소로 인한 매출 축소가 불가피하고, 원가 부담 및 미분양 관련 손실도 실적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한신평은 "정부 주도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건설사의 PF 관련 비경상적 손실 인식이 증가할 것"이라며 "사업성 저하 수준이 높은 미착공 사업장을 중심으로 손실 인식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석유화학 산업은 중국의 생산 능력 확대에 따른 공급 과잉 상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유통 산업의 경우 침체한 소비의 회복이 더딜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조선 산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됐다.
신규 수주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확충된 수주 잔고에 따른 협상력을 바탕으로 신조선가는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방위 산업 역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됐다. 트럼프 당선 가능성에 따른 글로벌 안보 불안 및 불확실성 확대, 자주 국방 강화 기조로 인한 국방비 증가세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K-방산의 유럽 시장 내 점유율 확대에 따른 글로벌 견제 분위기는 변수로 지적됐다.
강신윤 기자
max24876@daum.net
